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516회> 강릉 향토음식, 멍게열무김치(감자풀) 신은하, 향토요리연구가 신은하 선생과 제자 김세경 조용현씨, 누리대장아찌 '찐' 강릉 향토음식, 부새우조림, 김세경박사의 '씨종..

꿀이꿀이 2021. 6. 17. 16:45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516>

강원도의 맛 동해애서 만나다

2021617740분 방송

동해로 동풍이 불어오는 초여름, 강릉 주문진에서 묵호, 삼척까지 바닷길을 따라 떠나는 풍성한 밥상의 진한 삶의 이야기.

강릉의 황토음식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향토음식 보물찾기

강릉 안반데기에서 만난 향토 요리연구가 신은하 선생과 제자인 김세경 씨와 조용현 씨를 만나다.

그들은 어딘가 모르게 들떠 있는데, 바로 이맘때 만날 수 있는 귀한 향 채소인 누리대(누룩치)를 뜯으러 왔기 때문 이었다.

누리대장아찌는 누리대를 고추장에 박아두었다가 밥 위에 얹어 먹는데, 아는 사람들은 다 안다는 강릉 향토음식이다.

1년 에 딱 1번 바다와 강이 만나는 물가에서 뜰채로 떠서 잡을 수 있는 부새우(난바다곤쟁이)도 이곳 사람들은 조림으로 해 먹는다고 한다.

최근에 문화제청이 떡 만들기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한다고 발표했으며, 문화재지정을 도운 김세경 박사가 강릉의 특별한 떡을 소개하게 된다.

떡의 주인공은 ‘씨종지’떡으로 곡게 체 친 쌀가루에 단호박고지와 늙은호박고지를 섞어 찐 호박뭉생이와 감껍질과 콩, 각종 채소를 넣어 찐 떡이다.

제자 조용현 박사는 강릉의 대표 음식인 막장을 만드는 강릉 장칼국수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도 선보였다는 옹심이를 소개한다.

스승인 신은하 선생은 두 제자에게 멍게열무김치를 알려주는데, 열무김치에 밀가루풀도 찹쌀풀도 아닌 감자풀를 넣는다고 하는데, 이 맛은 과연 어떨지 매력 넘치는 강릉의 향토음식을 다양하게 만나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