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522회 낙월도 진달이 섬> 상낙월도 젓새우 육젓, 영광 젓새우 잡이 장철진 선장, 젓새우무침

꿀이꿀이 2021. 8. 5. 17:08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522회>

그 섬에 살다, 낙월도

2021년 8월 5일 저년 7시 40분 방송

낙월도, 전남 영광군에 속해 있는 작은 섬이다.

진달이 섬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서해 칠산 바다가 감싸고 있는 낙월도는 달이 지는 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섬이다.

전국의 젓새우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한때는 전성기를 누렸던 적이 있는 섬으로 현재는 겨우 100여 명밖에 살지 않고 있는 섬이자

가게 하나 없는 섬으로 바닥 내어주는 보물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는 낙월도 사람들의 소박한 멋과 맛이 담겨 있는 밥상을 만나다.

# 진달이 섬, 새우로 전성기를 누렸던 낙월도의 추억

‘새우의 고장’이라고 표석이 세워져 있는 상낙월도.

전국을 호령할 만큼 젓 새우 잡이의 중심지였던 낙월도에 대해 알 수 있는 문구이다.

상낙월도에서 태어나고 자란 장철진 씨는 올해 40년째 젓새우 잡고 있는 선징으로 베테랑답게 갓 잡아 올린 젓새우는 상하지 않도록 바로 소금에 절안다고 하는데...

이렇게 절인 젓새우는 최상급이라고 하는 ‘육젓’ 된다.

갓 잡아온 젓새우를 가지고 돌아온 곳은 낙월도의 사랑방이라고 하는 정자 아래, 평소 장철진 씨의 새우를 선별작업을 도와주는 나연금 씨와 염점래 씨는 낙월도의 전성기를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그들이 젓새우 음식에 발을 벗고 나선다.

젓새우는 어느 음식에 넣어도 다 어울리고 간장, 고춧가루만 넣어 쓱쓱 버무린 젓새우무침은 쌀밥과 함께 먹으면 그만큼 최고의 반찬이 없을 정도라 한다.

또한 아무리 비싼 돼지고기라도 젓새우가 들어가지 않으면 낙월도 사람들은 입에도 대지 않았다고 한다.

젓새우와 함께 한 음식들과 함께 지난 세월을 추억하는 낙원도 사람들을 만나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