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다큐멘터리 3일> 소양강 블루스 춘천 소양강 댐 72시간, 수자원공사 소양강댐지사 사람들, 치어 방류 직원과 어민

꿀이꿀이 2021. 8. 29. 18:53
반응형

<다큐멘터리 3일>

소양강 블루스 – 춘천 소양강 댐 72시간

 

2021829일 밤 1045분 방송

 

 

‘50년 가까이 되는 세월을 고스란히 간직한 소양강 댐’

소양강 댐은 춘천 명소 중 한 곳으로 시원하게 트인 풍광으로 관광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다.

1973년 소양강 댐은 완공되어 국내 최대 규모의 저수 능력을 갖춘 사력댐이다. 소양감 댐은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수도권에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용수공급으로 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50년 가까이 되는 세월 동안 쉼 없이 달려온 거대한 사력 댐 속에서는 과연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소양강 댐을 관리하고 있는 수자원공사 소양강댐지사 사람들의 3일을 만나본다.

 

# 댐을 지키는 사람들

 

해마다 여름철이 되면 소양강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 공사 직원들의 발걸음은 분주하고 바쁘게 움직인다.

태풍과 홍수로부터 댐이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작은 흠이라도 놓쳐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보조 여수로를 점검하는 안전시설과 강봉권 (53세) 차장과 이민재(36세) 대리

 

                         유량계를 점검하는 전자통신과 안항기(41세) 차장

 

소양강 댐의 유역면적은 2,703km로 서울시 면적의 4.5배 정도이다.

30명이 조금 넘는 수자원공사 소양강댐지사 직원들은 넓은 유역면적을 관리하기 위해 쉼 없이 움직이고 있다.

 

 

# 3개월간 퇴근하지 못하는 사람들

 

 

“진짜 손 떨렸었어요. 바가 너무나 예상치 못하게 많이 오는 바람에 제가 분석하면서도 손이 많이 떨렸어요.” - 운영과 송지선(35세) 차장

운영과 송지선 차장은 아직도 2020년 홍수를 잊을 수가 없다고 하는데, 홍수기에는 한 번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수위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불어나는데 2020년 홍수기에는 몇 시간 사이에 200mm에서 300mm의 비가 소양강 댐 유역에 쏟아져 불어난 수위를 안정시키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하고 관리하는 상황이 마무리되기까지 3개월의 시간이 필요했다.

송차장의 가족들은 3개월간 출퇴근을 하지 않는 송차장을 경찰에 실종신고 했다고 한다.

 

# 댐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치어 방류하는 춘천시 어민들과 소양강 댐 직원들

 

소양강 댐과 함께 탄생한 소양호는 인근 어민들에게는 보물과도 가은 존재이다.

춘천시 인제군 양구군은 댐 생태계 증징과 어민들과의 상생의 의미로 매년 45000마리의 치어를 호수에 방류하고 있다.

호수에 풀어놓은 치어는 2년이면 자라 어민들의 소득 창출에 기여하고, 어민들은 치어 방류 행사를 어려워진 조업 환경을 견디게 해주는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행사라고 말한다.

 

# 댐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저희가 여기에서 맡은바 소신 있게 잘해야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전자통신과 안항기 차장

 

한국 최대 크기의 면적과 저수량으로 내륙의 바다라고 불리는 소양호는 찾아오는 관광객들에게 코로나19로 지친 마음에 위로를 건네고, 소양호는 매년 수질 평가에서 1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소양강 댐과 희로애락을 함께하는 사람들 이야기 소양강 블루스 소양강 댐의 72시간과 함께 해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