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인사이트>기후 혁명, 최첨단 IT도 에상 못한 이상기후, 미국 블랙록 래리핑크 회장, 서울대 환경대학교 정수종 교수, 보험회사의 연쇄파산 우려, 텍사스 30년만 기록적인 한파, 타이완 56년..
<다큐인사이트>
기후변화 4부작 ‘붉은 지구’
기후 혁명
2021년 9월 23일 밤 10시 방송
기후 위기로 인하여 전 세계 IT 기업이 예상치 못한 비상사태가 일어나고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일어나게 되었다.
IT기업과 전 세계에 일어나는 자연재해 때문에 보험업계도 덩달아 힘들어지게 되었다.
기후의 일상의 위기를 넘어 전 세계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후는 어떤 미래를 우리에게 가져다줄지 알아본다.
특별기획 붉은 지구 4부작을 빛나게 했던 여진구의 내레이션
무게감 있는 목소리로 심도 있게 이야기를 들려주었던 여진구의 마지막 4부작 기후혁명의 내레이션 녹음을 마치고 여진구가 전하는 말이 있다.
“평소 지구온난화와 기후 위기에 대해 관심이 있었지만 이렇게 심각한지 몰랐다.
이번 내레이션에 참여하며 많이 배울 수 있었고,
의미 있는 작품에 참여할 수 있어 뜻깊었다.
방송을 본 시청자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분야 분이 붉은 지구의 다큐멘터리를 꼭 보고 경각심을 가졌으면 좋겠다.”
- 배우 여진구
# 최첨단 IT기업도 예측 못 한 이상기후
전 세계의 산업에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예측 불가능한 기상이변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 2월 한겨울에도 영상 10도를 유지하던 텍사스에 30년 만에 기록적인 한파가 들어 닥쳤다.
텍사스에서는 그로인해 오스틴 반도체 주요 공장인 삼성전자는 셧 다운되며 약 4,000억 원의 피해를 입게 되었다.
또 다른 타이완에서는 56년 만에 가뭄이 찾아와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가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토해냈고, 물은 반도체 칩을 만드는데 주요 자원이다.
그런데 가뭄으로 인하여 물이 부족해 공급량을 못 맞춰나간 것이다.
최첨단 중요한 기업들도 예측할 수 없는 이상 기후, 반도체 부족의 도미노 효과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가져오게 될지?
# 기후 위기에 따른 금융리스크
기후 위기로 인해 보험회사의 또 다른 걱정거리로 빈도 높은 재난 횟수에 따라 피해자가 속출하면서 보험회사가 신음하게 되었는데, 만일 보험회사가 연쇄 파산에 직면하다면 금융위기에도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기후의 변화가 금융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되자 기후 위기를 금융시장의 리스크로 생각하는 인식은 급속도로 높아지게 되고 있고, 대표적인 글로벌 최대 ETF(상장지수펀드) 운영사인 미국 블랙록의 래리핑크 회장은 금융의 근본적인 변화와 기후 위기의 연관성을 강조하고, 앞으로의 기후 리스크를 외면한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어쩌면 우리는 조만간 기후와 경제를 합성한 신조어 ‘웨더노믹스’를 입에 달고 살 수도 있다고 하는데...
# 탈탄소 시대 우리나라는 어디까지 와 있는가?
세계 9위인 우리나라 탄소 배출량 순위로 탄소 의존 경제로 성장해왔고, 전 세계에 퍼지고 있는 탄소 중립이라는 요구 속에서 대한민국은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하게 됐다.

하지만 아직까지 어느 곳에서는 발전소가 이어지고 있으며, 서울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는 석탄발전소 인근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며 “제대로 된 측정이 없고, 뭘 할 수 있는 기본이 없는 상태”라고 말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말로만 탈석탄을 외치고 구체적인 로드맵이 없다. ‘2050년 대한민국 탄소 중립’은 가능한 이야기일까?

네덜란드 공적연금 운용 공사 에이피지(APG)도 “2021년 신규 석탄 화력 발전소를 짓는 것은 믿기 힘든 현실”이라며 석탄발전소 건설을 걱정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왔다.
대한민국은 과연 탈탄소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수 있는 것일까?
기후혁명 4부에서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