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543회, 문어밥상>동해 문어한상, 홍현표 이학영 부부의 문어 한상, 묵은지문어내장탕 양미리조림, 홍 선장의 천연 피로회복제, 문어와 노래 한가락 속풀이 해장밥상, 속 풀이 한..
<한국인의 밥상 543회>
속 풀이 한상이요 – 해장 밥상
2021년 12월 30일 밤 7시 40분 방송 KBS1
겨울의 문턱 찬바람이 부는 한 해의 끝으로 고단한 몸과 마음을 풀어줄 속 풀이 뜨끈한 해장국 한 그릇으로 위로를 건넨다.
강원도 동해, 홍 선장의 천연 피로회복제, 문어와 노래 한가락
최고의 피로회복제인 전복과 더불어 문어는 자산어보에도 알려져 있다.
문어는 비늘이 없는 물고기 가운데에서도 유일하게 제사상에 오르는 물고기로 강원도 동해에서는 제사상에 반드시 문어를 탕의 형태로 상에 올리고 있다.
동해 문어는 남해의 돌문어와는 다르게 돌 틈에서 잡는 것이 아니고 깊은 바다에서 끌어올린다. 깊은 바다에서 잡기 때문에 크기도 남다른데, 50kg 가까이 되는 대왕 문어도 있다.
어부 홍현표(53세) 씨는 문어잡이 8년 차로 그와 함께 문어도 잡고 문어에 대한 재미난 이야기도 듣는다.
우리가 흔히 문어 머리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문어의 배로 머리는 눈 주변에 동전만 한 크기로 작은데, 사람의 입장에서 문어를 보다 보니 억울하게도 문어는 머리가 큰 녀석으로 됐다.
홍현표 씨와 아내 이학영(50세) 씨 부부의 문어 한상과 함께 인생 이야기를 들어본다. 인생의 풍랑을 겪어온 부부는 살만해지면서부터 동네 어르신들을 위해 위문 잔치를 정기적으로 해오고 있다.
정이 넘치는 문어 밥상, 문어 어부만 먹을 수 있다는 귀한 내장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듣는다.
홍현표와 이학영 씨 부부는 추운 겨울 일하느라 수고한 서로를 위하여 문어 보양식 한 상을 차려낸다. 이학영 씨는 큰 문어에 비해 내장의 양이 적어 문어잡이만 먹을 수 있다는 문어 내장으로 따뜻한 탕을 준비한다.
이 부부의 집에서는 탕과 국을 끓일 때 문어 육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문어의 감칠맛이 문어 육수만으로도 조미료가 필요 없을 정도란다.
문어 육수에 문어내장과 묵은지를 넣어 한소끔 끓여내면 깔끔한 맛이 매력인 묵은지문어내장탕을 완성한다.
지금이 제격이라는 양미리조림과 이학영 씨가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바닷가 바람에 말려 쫄깃한 양미리에 양념을 더하여 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