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다큐 온> 신년기획 일상의 꿈을 노래하다, 산업현장에 선 헤비메탈 락커들, ‘베드랩’은 4인조 헤비메탈 락 밴드, 디아코니아 리더 최동원, 꿈

꿀이꿀이 2022. 1. 1. 16:31
반응형

<다큐 온> 신년기획

일상의 꿈을 노래하다

2022년 1월 1일 밤 11시 40분 방송 KBS1

코로나19를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고, 이렇게 비정상적인 일상이 계속될 줄은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여행을 가는 것, 같이 모여 밥을 먹는 것, 공연장을 간다는 것도 또한 엄두를 못 내는 일이 되어버렸다.


홍대 인디밴드를 비롯하여 노래하는 음악을 만들던 이들은 무대를 향해 환호하던 모습은 이제 까마득한 기억 속 세상이 되었다.
그렇게 무대에서 서는 것을 업으로 살아온 이들에게 지난 2년은 고통 그 자체였고 지금 그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다시 무대에 설 수 있을까?

최동원 씨는 그룹 디아코니아 리더로 생계가 막막해진 상황에서도 음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그는 생활비 큰 부분을 차지하던 보컬 레슨까지 비대면 거리두기로 어려워지면서 경제적 여건이 벼랑 끝까지 몰리기도 했다.


그룹의 멤버들도 비슷한 이유로 뿔뿔이 흩어졌는데, 그러던 중에 KBS오디션 프로그램인 ‘새가수’에 멤버 허은율 씨와 함께 출연하여 무대에 대한 갈증도 풀 수 있었고, 자신들이 속한 그룹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방송 출연을 게기로 다시 그룹 활동을 재개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산업현장에 선 헤비메탈 락커들

‘베드랩’은 4인조 헤비메탈 락 밴드로 홍대거리에서는 꽤 알려진 실력파 인디밴드이다. 이들 역시도 코로나19의 여파를 이겨낼 수만을 없었다.
무대를 업으로만 삼기에는 현실이 너무 냉혹했고 그들은 모두 하나 둘 산업현장에 취직을 하게됐다.


리더보컬인 이동원 씨는 도시재생분야에서 일을 시작하였고, 드러머 최주성 씨는 금형공장에서 기계를 깎는 일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음악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들은 매주 금요일 밤만 되면 작은 연습실을 빌려 자신들만의 락 세계를 펼친다.


지난 11월 1일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가 시행되면서 대면 콘서트를 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잠시 맞기도 했건만 다시 무대와는 멀어져야만 했다.

음악 산업 전반이 겪은 팬데믹의 고통

코로나19로 인하여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건 음악인들 뿐 아니라, 공연장, 녹음실, 연습실, 조명, 음향등 음악 산업 전반이 수렁에 빠지게 되었고, 이들과 함께 장사를 하던 카페와 음식점 등 수많은 자영업자들이 고통 속에 바지게 됐다.


홍대 인디밴드들의 성지로 불리던 한 클럽의 경우에는 2년 동안 절반 가까이 문을 닫았고, 가게 문을 열어도 공연이 없는 클럽은 적막감마저 흘렀다.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등 업계에 따르면 대중음악 공연업계 매출은 코로나 이전에 비하여 90% 이상 감소했다.

다시 희망을 노래하다.

잠깐 동안 위드코로나 정책이 시행되면서 음악계가 살아날 것이라 희망을 기대했던 뮤지션들은 시행 한 달도 못되어 급속도로 확진자가 늘어나고 변이바이러스의 등장으로 혼란에 빠졌고, 일상을 조심스럽게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는 일반인들도 마찬가지로 실망으로 변하게 됐다.


그러나 음악인들은 포기하지 않는다.
다시 무대에 서서 관객들을 만날 수 있는 날을 꿈꾸며 자신들만의 음악을 만들며 앞으로 나갈 것이다.
단절의 시대에 사람들을 위로할 최고의 선물이 음악이라 믿기 때문이란다.


코로나19로 인해 단절되었던 무대가 열리기를 꿈꾸는 젊은 뮤지션들의 이야기가 2022년 1월 1일 새해 첫 날 KBS1 토요일 밤 11시 40분에 방송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