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547회>용산 고등어 골목식당, 고도어 벽문어 고등어, 고등어국과 고등어젓갈, 용산 연탄 고등어구이
<한국인의 밥상 547회>
고맙다, 고등어
2022년 2월 3일
고등어 푸른 등을 가지고 있는 은빛 물고기, 항상 밥상 한 귀퉁이에 놓여있던 국민생선이다.
지금 찬바람에 온몸 가득 기름을 채워 가장 맛있는 제철이라는데, 제주 인근바다에서는 고등어 잡이로 불야성을 이루고 있다.

값싸고 흔한 생선으로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DHA 등 영양도 풍부하여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인기 1위인 생선으로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고등어구이 지글지글 고등어 굽는 냄새만으로도 옛 추억이 떠오르고 땀내 가득한 고된 날들의 마음의 허기를 채워주는 오랜 친구 같은 우리네 생선 고등어이다.

# 국민 생선 고등어, 그 비릿하고 그리운 추억
조선시대 고등어가 본격적으로 우리 밥상에 오르기 시작하여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칼처럼 생겼다고 해서 고도어, 푸른 무늬를 가졌다는 뜻의 벽문어, 등이 부풀어 오른 고기라 고등어 등으로 불렸다.

지금과는 달리 먹는 방법이 국을 끓이거나 젓갈을 담아 먹었던 고등어가 1920년 이후 대량을 잡히기 시작하면서 값도 싸고 만만하게 먹을 수 있는 국민 생선의 지위를 얻게 되었단다.
수입산 고등어가 들어오면서 위세는 예전 같지 않고 있지만 여전히 사람들의 당연히 생선이라면 고등어부터 떠올린다.


서울 용산구 한 골목 식당 지글지글 연탄불에 구워지는 고등어 냄새가 사람들의 발길을 잡고 있다. 40년 넘는 동안 골목에서 고등어를 굽고 있는 사람들이 있고, 그 냄새를 따라 사람들이 모여들고 고소한 고등어 한 점에 고향과 가족들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다.

늦은 저녁 집으로 퇴근하던 아버지의 손에 들려오곤 했던 고등어 한 손처럼 짜고 비릿한 냄새에는 저마다의 추억과 그리움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용산 대원식당]
주소 :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62 나길 16-1
전화번호 ; 02-795-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