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건축탐구 집> 앙코르와트, 신들의 집 앙코르와트, 김호민 소장, 앙코르와트 의 비밀 돌 물 태양,아시아 건축탐구

꿀이꿀이 2022. 2. 15. 21:00
반응형

<건축탐구 집>

아시아 건축탐구 1부, 신들의 집, 앙코르와트

크메르 제국의 찬란했던 역사를 품고 있는 천년의 시간을 살아온 세계유산 앙코르와트

앙코르와트의 건축적인 시각에서 들여다보고 김호민 소장과 현지 전문가의 생생한 탐험으로 베일에 싸여있던 앙코르와트의 비밀과 놀라운 사실을 파헤친다.

 

 

천년의 역사를 지닌 신들의 집 ‘앙코르와트’

<아시아 건축탐구>는 어시아의 경이로운 건축 유산을 찾기 위한 여정으로 김호민 소장과 함께 떠나는 여행의 목적지인 캄보디아를 대표하는 유적이자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아름다운 명소인 앙코르와트이다.

12세기 초 크메르 제국의 왕 수리야바르만 2세가 지은 앙코르와트는 힌두 신화의 세계관을 건축적으로 가장 잘 표현한 사원으로 평가 받았다.

해자는 우주의 바다를 1~2층의 화랑은 우주의 산맥을, 중앙의 탑은 힌두 신화 속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는 메루 산을 가리키고 있다.

 

 

앙코르와트는 그 자체로 완벽한 우주를 의미하고 인간의 영역을 벗어난 곳으로 여겨진다. 해자를 가로지르는 무지개다리를 건너 사원으로 향하는 행위는 인간의 세계에서 신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다리를 통해 해자를 건너 신들이 사는 집으로 들어간 김소장은 앙코르와트의 건축 비밀을 낱낱이 파헤치기 위해 현지 전문가의 동행으로 본격적인 여행을 시작한다.

 

 

앙코르와트의 비밀 하나, 돌

앙코르와트는 천 년의 시간을 거뜬하게 버텨냈고, 그 긴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그 비밀을 바로 로 대표적인 석조 건축물인 앙코르와트는 다리부터 성벽 탑까지 모두 돌로 만들어졌다.

오랜 보존을 하기 위해 튼튼하고 강한 재료로 지어야만 한다고 해 돌을 선택했던 것인데, 무려 천만 개 이상의 돌덩어리가 들어가고, 돌 하나당 1톤을 넘나드는 무게를 가졌다고 한다.

 

 

엄청난 규모임을 짐작하게 되고, 이쯤에서 드는 궁금증이 하나 있는데, 주위를 둘러보면 늪지대뿐인 이곳에 돌은 어디서 가져올 수 있었던 것일까, 천만 개가 넘는 돌들은 어떻게 이곳까지 옮겨올 수 있었던 것일까?

 

 

앙코르와트의 비밀 둘, 물

사암이라는 종류의 재료를 사용하고, 모래가 쌓여 단단하게 굳은 퇴적암으로 모래의 특성상 많은 양의 물에는 부서지기 쉬운데, 우기와 건기가 반복되는 캄보디아는 비가 올 때는 엄청난 비가 지면에 스며들게 되면 건기에 순식간에 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사암으로 지은 앙코르와트가 무너지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라고 한다.

두 번째 비밀은 앙코르와트 성벽 밖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가 주변 수위를 안정적으로 조절해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해자와 앙코르와트 내부를 연결한 배수 시스템까지 완벽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초 작업부터 탄탄하게 설계되어 있는 크메르인의 수준 높은 건축 기술에 김소장은 저절로 감탄이 터져 나온다.

 

 

앙코르와트의 비밀 셋, 태양

앙코르와트의 독특한 특징이 또 있는데, 보통 동쪽을 향하는 다른 사원들과 달리 서쪽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여러 이유가 있는데, 신전의 최고의 신인 비슈누와 관련이 있다는데...

수리야바르만 2세가 서쪽을 관할하는 비슈누 신에게 바치는 사원으로 만들었기에 서향을 택했다는 것이다.

앙코르와트는 왜 이곳에 터를 잡았을까?”라는 하나의 질문이 떠오르는 김소장은 보통 건축은 주변 지형을 기준으로 터를 잡기 마련이다

 

 

국토의 70%가 산인 우리나라의 경우 궁궐을 지을 때 산을 기준으로 터를 잡는 것에 일반적인데, 캄보디아는 산지가 거의 없는 평평한 지형을 가지고 있고, 앙코르와트가 있는 시엠립도 주변에 산을 찾아볼 수 없는 평지라 현지 전문가는 태양이 핵심이라고 답해 놀라움을 자아냈다고 한다.

매일 아침 뜨고 지는 태양이 어떻게 앙코르와트의 터를 결정했다는 것일까?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유산으로 어디서도 알 수 없었던 앙코르와트의 건축 비밀을 파헤치는 시간을 갖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