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 비밀 813회>김재현교수, 당뇨합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족부병변, 당뇨 혈당조절, 당뇨약과 식습관 운동법 교정
<생로병사의 비밀 813회>
늘어가는 당뇨약, 혈당조절은 왜 실패하는가.
고대 이집트 의학서 에버스 파피루스에서 당뇨병의 기록이 남아있다.
‘이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극도의 갈증과 다뇨 증상을 보이고 그들의 몸은 매우 말라 있다.’ 혈당이 높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2018년 기준으로 당뇨병 유병률은 13.8%로 302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적극적인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는 질병인 당뇨병은 많은 환자가 당뇨병을 복용하지만 약의 양이 늘기 시작하게 되면 곧 한계에 부딪히고, 무한정 약을 늘릴 수 없고, 약효도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인슐린 주사에 대한 편견으로 치료 적기를 놓치기도 하고, 식습관, 운동도 당뇨병 환자들이 정확하게 알아야 하는 요소이다.
‘당뇨병’이란
우리 몸 안에서 에너지원인 포도당을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한 상태에서 당이 혈액내에 넘쳐 흐르고 더 심해지면 소변으로 빠져 나오게 되는 상태이다.
당뇨합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족부병변
당뇨합병증의 대표적인 곳은 눈의 망막으로 2019년 기준 전체 당뇨병 환자의 12.7%가 당뇨망막병증을 겪었다.
망막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부위로 많은 영양소와 산소가 필요하고,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액순환 장애로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어려워져 출혈이 생긴다. 이런 현상이 악화되면 망막의 신경 조직이 손상되며 시력이 떨어진다.
‘당뇨발’로 알려져 있는 당뇨병성 족부 병변은 염증이 생기면서 발의 조직이 괴사하는 질병으로 높은 혈당이 말초신경에 영향을 주며 운동신경이 손상되고, 발 모양에 변형이 오거나 혈관이 막히기도 한다.
당뇨발은 심한 경우 발을 잃을 수도 있다.
[당뇨합병증]
1) 급성 당뇨합병증 - 식사량과 운동량보다 인슐린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 생기는 저혈당
인슐린의 결핍으로 일어나는 케토산 혈증
2) 만성 당뇨합병증 - 망막합병증, 신장합병증, 신경합병증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당뇨병의 합병증에서 가장 무서운 질환으로 세계 각국의 실명 원인 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혈당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 더욱 잘 발생하고, 초기에는 망막병증이 있으면서도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 많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진찰이 중요하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미세혈관에 병변이 일으키는 대사성 질환으로 눈능 포함한 전신 조직에 광범위한 장애를 일으킨다. 당뇨병으로 인해 특유한 망막 순환 장애가 생기는 것이다.


당뇨병이 오래될수록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당뇨약만으로 혈당조절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인슐린은 근육 세포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도록 세포의 문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췌장의 베타세포 파괴로 인해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는 것이 1형 당뇨이고,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없던 2형 당뇨 또한 베타세포의 기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면 인슐린 분비 감소로 혈당조절이 어려워진다. 이런 경우 체외에서 인슐린 공급이 필요하고 당뇨병 환자들이 인슐린 주사 치료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불규칙한 식사 시간과 높은 열량 섭취, 혈당조절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활동량이 거의 없거나 운동 강도가 약하고 근력 운동이 부족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당뇨병 환자들에게 권장하는 운동법, 생활습관 개선 이후 혈당수치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평생 관리하면 이겨낼 수 있는 당뇨병, 당뇨약과 식습관 운동법 교정을 통해 올바르게 혈당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