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 비밀 779회> 혈압 130mmHg일때 해야 할일, 고혈압 전단계의 체중과 혈압 관리, 미국 국립보건원DASH 식단이란(저염식 저당 저지방), 송영빈 삼성서울병원 교수, 이해영 서울대학교병..
<생로병사의 비밀 779회>
혈압 130mmHg일 때 해야 할 일
2021년 6월 9일 방송
고혈압 전 단계 130mmHg
우리나라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을 한다.
그러나 2017년 미국에서는 새로운 고혈압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미국의 기준은 우리나라 기준보다 10mmHg 낮은 1300mmHg에 80mmHg으로 기준을 제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단계를 고혈압 전 단계 말하고 있는데, 의학계에서는 이 단계에서부터 고혈압처럼 관리를 하라고 권고하고 있으며 근거를 평균 수명 100세 시대에 두고 있다.
나의 심장과 혈관으로 70년만 버텨내면 되었던 과거와는 다르게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이전보다 30년을 더 버텨야하기 때문에 고혈압 진단 기준을 140mmHg보다 더 낮은 고혈압 전 단계에서 혈압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체중이 5kg 빠지면 혈압이 5mmHg정도 빠지고, 체중 조절을 하는 게 혈압 조절에는 가장 중요합니다.” - 송영빈(삼성서울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
“몸이 비만할 때 지방만 느른 게 아니라 물도 같이 늘어납니다. 혈압 증가는 피의 양이 많아지는 게 가장 큰 이유인데 혈액의 양이 많아지고 심장이 짜내는 힘이 세지는 게 혈압이 올라가는 이유입니다.” - 이해영(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교수
고혈압의 전 단계였을 때 혈압 관리에 소홀하게 되면 혈관성 질환으로 고통 받는 이들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고혈압 전 단계일 때로 돌아가 혈압을 열심히 간리할 것이라 말한다.
고혈압을 막는 최후의 방어선은 고혈압 전 단계에 체중과 혈압의 연관성이 있다고 말하고 있으며 혈압 강하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국내 스포츠의학 팀에게 적절한 운동법을 배워본다.
혈압이 정상인 군에서는 정적 근력운동이, 고혈압 전 단계인 군에서는 동적 근력운동이, 고혈압 군에서는 유산소 운동을 권장한다.
미국 국립보건원에서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제시하는 식단은 바로 DASH식단으로 이 핵심은 저염식, 저지방, 저당이다. 채소와 과일, 유제품 위주로 식단이 구성되어진다.
고혈압 전 단계일 때 혈압을 관리하자.
운동법과 식단을 적용해 혈압과 건강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관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