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명의 722회 최악의 암 췌장암 > 췌장암, 다학적 진료팀 권창일 교수 전홍재교수 최성훈교수, 유상철 췌장암 4기, 췌장암 5년 생존율 12%, 췌장암의 발병과 원인 치료, 췌관내유두상 점액종양, 만..

꿀이꿀이 2021. 7. 2. 20:06
반응형

<명의 722>

췌장암 절망에서 희망으로

202172일 금요일 밤 950분 방송

축구 감독 유상철이 몇 주 전 암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그의 병은 걸리면 삼아하는 것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진 췌장암 4기였다.

현재는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존채 5년 생존율이 70%인 시대에 이르렀는데 췌장암은 12%로 다른 암에 비해 현저히 낮은 성적을 보인다.

췌장암은 전체 암 발병률이 8위를 차지하고 있는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암인데 췌장암이 발견했을 때에는 이미 암이 진행된 4기까지 진행되어 수술로 손쓸 수 없는 경우가 40%나 된다.

췌장은 다른 장기에 둘러싸여 우리 몸의 깊숙한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견하는 것도 어렵고, 전이도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이 최악의 암을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까?

췌장암의 생존율을 올리기 위한 다학적 진료팀의 노력과 췌장암 발병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췌장암, 알아채기도 힘들고 예후가 최악인 암

50대 후반의 남성은 소화제가 더는 듣지 않아 병원을 찾았는데 복통과 소화불량이 그 무섭다는 췌장암의 증상이었을 줄은 몰랐다. 그는 췌장암이 이미 4.5cm로 커져 있어 당장 수술을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몸속 깊숙이 숨어있는 췌장의 위치 때문에 췌장암의 초기 진단이 어렵다고 한다.

췌장암의 주요 증상은 소화불량과 체중감소로 위장 장애로 착각하기 일쑤이고, 위치에 따라서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췌장은 머리-몸통-꼬리로 나누었을 때 췌장의 머리에는 암이 생기면 황달 증상이 나타나 오히려 치료가 빠른 편에 속하고, 꼬리에 암이 생기면 말기가 될 때까지 증상이 없어 예후가 가장 좋지 않다.

몸통에 생긴 췌장암은 등 통증을 일으키고 혈관과 림프절을 통해 전이될 위험이 있고, 발견하자마자 일상을 위협하는 췌장암을 미리 알 방법은 없을까?

물혹이 췌장암으로 발전하는 물혹은?

5년 전 췌장에 생긴 물혹을 제거해야 한다는 진단을 받은 60대는 최근 까지 물혹이 악성종양으로 변하는 것을 방치하고 말게 되었다.

응급실에 실려 와 췌장암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란 증상은 모두 겪으며 고통스러워하는 그는 당시에 물혹이 곧 췌장암이고 췌장암에 걸리면 살 확률이 없다는 생각에 두려워서 치료를 포기했다고 하는데, 췌장에 물혹이 생기면 무조건 췌장암일까? 고령의 환자 중에 10%는 췌장에 물혹이 있을 정도로 췌장의 물혹은 흔하고 대부분 양성으로 추적 관찰을 통해 지켜보면 되는데,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은 췌장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물혹이다.

물혹은 당장은 양성이라고 해도 물혹의 크기가 커지고 물혹에 결절이 생기게 되면 악성 종양으로 진행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수술로 제거해야만 한다.

그는 발견 즉시 손을 썼다면 수술만으로 치료가 끝날 수 있었지만 미루다 결국 물혹이 악성으로 바뀌는 바람에 전이와 재발의 위험이 커졌다. 그래서 발견은 늦고 진행은 빨라 최악의 암이라고 불리는 췌장암이다.

췌장암의 유일한 희망은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다.

 

 

췌장암은 왜 걸리는 것인가?

생활습관 때문에 췌장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췌장암은 생활습관 질병이라고 불릴 만큼 생활에서 관리해야 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인데 발암물질을 직접 흡입하고 잘못된 식습관을 피하지 않으면 췌장은 소리 없이 망가져 간다.

만성췌장염은 일반인보다 췌장암에 걸릴 확률이 10배나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갑자기 당뇨가 생기거나 당뇨가 있는 사람이 당뇨가 심해졌을 경우 췌장암을 의심해봐야 한다.

췌장암은 췌장액 분비를 막아 조절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우리의 생활과 식습관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는 췌장, 췌장 건강을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권창일 : 소화기내과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전재홍 : 혈액종양내과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 차병원 혈액종양내과 부교수

최성훈 : 간담췌외과 교수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외과 부교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