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역사저널 그날 322회> 제갈공명의 출사표, 읍참마속, 제갈공명의 남만정벌, 제갈공명 오장원, 원칙주의와 형주학파, 촉 황제 유비, 제갈공명의 만두와 목각 병사 맹획, 신출귀몰한 병법

꿀이꿀이 2021. 7. 27. 13:57
반응형

<역사저널 그날322>

여름방학 특집 ‘삼국지’ 제4편

2021727일 밤 10시 방송

제갈공명 출사표를 던지다.

이릉대전에서 참패하게 된 촉 황제 유비가 223년에 죽고 그의 아들 유선이 촉한 2대 황제 자리에 오르게 된다.

제갈공명은 어린 황제 유선을 보좌해 국정을 돌보게 된 그는 촉의 운명을 책임지게 되었다. 관우와 장비, 유비가 다 사망하여 위기를 맞게 된 촉은 어려운 상황 가운데 제갈공명이 선택한 바로 북벌이었다.

제갈공명은 227년 삼국통일의 의지를 담고 있는 출사표를 황제 유선에게 올린 뒤 군사를 이끌고 위의 공격하게 되고 228년 북벌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

제갈공명이 북벌을 감행한 이유와 출사표에 담긴 제갈공명의 진심이 무엇이었는지 알아본다.

 

 

# 제갈공명의 남만정벌, 그날의 진실?

남만정벌, 제갈공명이 촉의 숭상으로 북벌에 앞서 가장 먼저 개시한 군사행동이다.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묘사하고 있는 남만 정벌은 기이한 일화로 가득하다.

제갈공명에 대한 역사적 진실은 목각으로 병사를 만들어서 남만을 공격하고, 만두는 처음으로 만든 인물, 맹획을 일곱 전 붙잡았지만 일곱 번 풀어주었다는데 무엇이 허구이고 무엇이 진실일까?

 

# 제갈공명의 눈물, 읍참마속

읍참마속 :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베다.

1차 북벌 제갈공명이 이끄는 촉군은 위군을 상대로 승기를 잡았지만 부하 장수 마속의 실수로 위기를 맞게 되면서 북벌이 실패로 돌아간다.

1차 실패의 책임을 물어 제갈공명은 아끼던 장수 마속을 처형하게 된다.

현재까지도 유명한 읍참마속의 일화를 통해 제갈공명의 원칙주위와 그 배경인 형주학파에 대해 소개한다.

# 사마의 VS 제갈공명, 지략가들의 한판 승부

촉의 제갈공명이 군사 10만 명을 이끌고 5차 북벌을 감행하자 사미의 위의 지략가가 제갈공명과 맞서게 된다.

촉과 위의 두 나라의 운명을 건 전쟁이 벌어지는 순간 공명과 사마의 양측 모두 의외의 전술을 구사했다.

그 전술의 내용과 배경, 특히 공명이 사미의를 대상으로 특이한 심리전을 벌이는데...

 

# 촉을 일으킨 효자상품, 제갈공명의 사인은?

이릉대전의 참패 이후 222년 피폐해진 촉을 살리기 위해 특단의 대책을 세우면서 행정가로서의 진가를 발휘하게 된 제갈공명은 특정 산업을 장려하게 되었다는데, 위와 오도 탐냈다고 하는 촉의 특정산업을 알아본다.

 

 

5차 북벌이 한창 진행 중인 234년 제갈공명은 오장원에서 사망하고, 제갈공명의 사인이 무엇인지, 제갈공명의 건강 상태를 한의학 전문가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소설 <삼국지연의>를 통해 신출귀몰한 병법 천재로 알려진 제갈공명의 역사 속 실제 모습을 알아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