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시사기획 창 339회>데이터로 본 일본의 두 얼굴, 한일 경제 지표 역전, 2020년도쿄올림픽, 아베노믹스, 이창민 교수의 일본의 장점과 약점, 박상준 교수의 일본의 미래, 추월의시대

꿀이꿀이 2021. 8. 15. 18:21
반응형

<창 339회>

데이터로 본 일본의 두 얼굴

2021년 8월 15일 일요일 밤 9시 40분 방송

 

 

32회 도쿄올림픽이 17일 동안 여정을 끝냈다.

코로나19의 유례없는 감염병 대유행 속에 치러진 올림픽은 1964년 도쿄올림픽의 영광을 재현하겠다고 한 일본은 이번 올림픽에서 금메달 27개, 도합 58개 메달을 획득해 종합 3위의 순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이번 올림픽을 부흥올림픽으로 치르겠다는 공언이 실현되는 순간이었다.

 

 

올림픽을 치르고 난 후 남은 현실은 냉혹하기만 했는데, 개막식이 열린 지난달 23일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는 4225명이었지만, 폐회식인 88일 신구 확진자는 14472명으로 3.4배로 늘어났다.

도쿄올림픽이 코로나19 확산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 되어졌다.

일본은 올림픽을 앞두고 4번째 긴급사태가 선언된 도쿄도는 이달 말까지 긴급사태가 연장되었고, 일본 최대 싱크탱크인 노무라종합연구소는 4차 긴급사태가 경제적 손실을 21900억 엔(한화 227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올림픽 개최로 얻은 경제효과는 16771억 한화 173915억 원을 상쇄하고도 우리 돈 5조 이상의 손실을 피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 추월의 시대, 한일 경제 지표 역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구매력평가지수(PPP)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지난 2017년부터 일본을 추월한 것으로 집계했다.

PPP 기준 1인당 GDP는 나라마다 다른 물가 및 환율 수준을 반영하여 국민의 구매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2017년 한국의 1인당 GDP411달러, 일본의 1인당 GDP4827달러로, 한국과 일본의 1인당 GDP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약 반세기만에 한국이 일본을 처음으로 추월하였다.

 

제조업으로 일본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올려놓은 원동력이었고, 제조업 경쟁력 평가에서도 일본은 하락세을 이어가고 있다.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발표한 세계 제조업 경제력 지수(CIP)를 보게 되면 일본은 1990년대 조사 대상 152개국 가운데 독일에 이어 2위를 기록했지만 30년 사이 미국과 한국, 중국에 밀려 5(2018 기준)로 밀려났고,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은 17위에서 3, 중국은 32위에서 2위로 일본을 추월하였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경제성과와 기업경영효율, 정부행정효율, 인프라 등 4개 분야 20개 세부항목 평가를 종합해 발표하는 국제 경쟁력 평가역시 일본의 쇠퇴를 잘 보여주는 지표이다.

1989년부터 평가가 시작된 전 항목에서 1위를 다투며 종합 1위였던 일본은 올해 발표된 평가에서 31위까지 주저앉게 되었다. IMF 외환위기 직후 40위대까지 떨어졌던 한국은 23위로 일본을 제치고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nbsp;

 

# 2021년 일본, 어디로 가고 있나?

1964년 도쿄올림픽 이후 일본은 명실상부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고, 거품 경제 붕괴이후 수십 년 동안 이어진 초창기 불황은 이른바 잃어버린 30으로 불린다.

2012년 아베 신조 내각이 출범한 이후 아베노믹스는 전 후 2번째로 긴 호황을 가져왔지만 어쩐지 일본 국민의 삶은 그리 나아지지 않았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202157년 만에 다시 도쿄에서 올림픽 성화는 다시 일본의 부흥을 발판이 되어줄 것인가?

 

이창민 한국 외국어대학교 융합일본지역학부 교수는 2021년 아베 내각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행한 아베노믹스저온호황이라 규정했다.

강력한 양적 완화로 엔화의 가치가 덜어지고 주가가 상승했지만 혜택을 입은 건 기업이다. 기업 영업이익은 확실히 개선이 됐지만 이후기업들이 꾸내 투자와 임금 인상이 아닌 해외 직접 투자에 집중하면서 일본 국내 경기 부양 효과는 크지 않았다. 이 때문에 기업은 굉장히 윤택해졌지만 일반 국민들은 호황의 온기를 별로 느끼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창민 교수는 일본의 강점과 약점을 일본은 풍부한 지식 자본을 바탕으로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꾸즌히 해왔으며 여전히 소재와 부품, 장비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 수준의 중견 중소기업들이 많다. 또 하나는 일본의 풍부한 대외 순자산이다. 전 세계 GDP 5위인 영국의 한 해 GDP 규모와 비슷한 305조 엔의 자산을 해외에 가지고 있다.”, “하지만 축적된 지식 자본이 창업이나 기업 혁신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고, 내수지향이 강한 일본 기업 역시 약점으로 꼽힌다.”

 

 

박상준 일본 와세다대학교 국제교양학부 교수는 일본의 미래에 대해 일본 기업은 살아남는다고 생각한다. 버블 이전의 경제적 활력이 있는 시기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지만, 급격한 쇠퇴 없이 지금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이대로 앞으로 적어도 30, 40년을 이렇게 갈 것이다.”라고 전망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