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국인의 밥상 524회> 선유도 생선구이 밥상, 남정수 전문산 부부의 낚싯배, 반건조 생선구이(소라 새우 꽃게), 해삼물회, 선유도의 이열치열 밥상 구이의 재발견

꿀이꿀이 2021. 8. 19. 17:03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524회>

이열치열 – 구이의 재발견

2021년 8월 19일 저녁 7시 40분 방송

무더운 여름 더위에도 구이가 최고의 별미.

뜨거운 불 앞에서 흘리며 먹는 그 맛의 이열치열 화끈한 구이 밥상을 만나러 떠난다.

 

 

# 전라북도 선유도 – 선유도 토박이 ‘섬남섬녀’가 소개하는 생선구이 밥상

고군산군도의 중심에 놓여 있는 선유도.

유인도 10개와 무인도 47개로 서해 다도해로 불리는 선유도로 행한다.

 

 

선유도는 원래 쾌속선을 이용하지 않으면 바닷길로 3시간은 달려야만 도착할 수 있는 섬이다.

현재는 연륙도가 놓아지면서 섬의 사정은 달라졌고, 남정수(64)와 전문산(63) 씨 부부는 선유도는 육지 구경하기 어려운 섬 서로가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갈 수 없는 섬으로 기억하고 있다.

 

 

부부는 중학교 때 만나서 40여 년을 이 섬에서 서로를 친구처럼 둘도 없는 단짝으로 여기며 살았다.

김 농사를 지으며 본전도 못 건질 때에도 서로가 있기에 인생의 험난한 파도도 이겨낼 수 있었던 부부는 지금은 낚싯배를 운영하며 이제야 살만해 졌다고 말하고 있다.

 

 

코로나 거리두기 때문에 어쩌다 휴가를 보내게 됐다는 부부와 함께 망망대해로 나가본다.

 

반건조 생선이 유명한 선유도에서는 냉장고가 없던 시절에는 생선을 짜게 절였다가 해풍에 말려 보관하는 방법을 생선을 즐겼다한다.

반건조한 생선은 생선의 수분이 빠지면서 쫄깃한 식감과 감칠맛이 더해져 반건조 생선과 소라 꽃게 새우 등은 찜, 탕도 좋고, 강력한 숯불에 구우면 맛이 응축되면서 담백한 맛 또한 일품이다.

 

 

선유도 바닷가에서는 흔하다고 하는 해삼으로 해삼을 듬뿍 넣은 해삼 물회도 즐긴다.

옛날 섬에서는 과일이 흔하지 않아 식초를 듬뿍 넣은 물회의 상큼한 맛으로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기도 했다.

 

 

숯불이 오랜 세월 인류에게 최고의 화력으로 사랑받았던 이유도 알아보고. 선유도의 뜨거운 밥상에서 이열치열 생선구이 밥상이 부부를 위로해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