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541회>고성 도치알찜, 묵은지도치알탕, 도치숙회, 박주현 부자의 도치잡이, 조명숙씨의 도치 보양식
<한국인의 밥상 541회>
한 입만으로 충분한, 알부자 납시오.
2021년 12월 16일
찬바람이 불면 알이 꽉 찬 생선들이 돌아온다.
제 한 몸을 다 내어주고, 알배기 생선들로 차려진 옹골진 한 상을 만나본다.
생선 알을 즐기던 오랜 전통 덕분에 우리 밥상에도 알탕, 알찜, 젓갈, 어란 등으로 다양한 알 음식이 올려진다.
알 요리는 때론 추억의 요리가 되기도 하고, 겨울철 부족한 영양을 채워주기도 하는 작지만 옹골찬 알 음식은 철 만난 도루묵알과 곰치알로 차려진 보양식과 명태의 회귀를 바라며 차려진 명란 음식, 꽉 찬 도치알 한 상, 민물에서 볼 수 있는 송어알과 귀하디 귀한 캐비아까지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영양과 맛까지 좋은 알부자 생선으로 겨울철 속을 갈래줄 맛을 만나본다.
몸 전체가 알로 가득 찬 도치알 – 강원도 고성
새벽 4시 초보 어부 박주현 씨는 1년도 채 되지 않은 어부로 이른 시간부터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데,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뱃일을 배웠다.
박주현 씨에세 자신의 모든 노하우를 묵묵히 전해주는 60년 차 베테랑 어부 아버지는 부자가 오늘 이른 새벽부터 서두른 이유는 알이 꽉 찬 제철 도치를 잡기 위해서란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도치 잡는 모든 비법을 전수하고 60년 어부 생활을 마무리하겠다고 하는데, 이들 부자의 모습을 보며 안쓰럽고 기쁘기도 하다는 어머니 조명숙 씨는 부자가 열심히 잡아오는 도치로 든든한 보양식을 준비한다.
도치는 몸 전체가 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치알 찜은 바닷물에 씻어 한 두 시간 정도 굳히고 굳은 알을 찌면 두부처럼 하얀 도치알 찜이 완성된다. 도치를 음식을 할 때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듯이 씻겨야 한다는데, 며느리 조인영 씨도 그 옆에서 열심히 낯선 알배기 생선들에 대해 배운다.
도치알 탕는 꼭 묵은지가 들어가야 한다는데, 꽁꽁 언 부자의 속을 녹여줄 음식이고, 도치는 뼈가 억세지기 전 먹어야 식감이 좋은데, 이맘때 쯤 먹을 수 있는 게 살짝 익힌 숙회, 아들이 어렸을 때부터 가장 잘 먹고 좋아하던 도치찜까지 걱정은 잠시 잊은 채 앞으로의 기대로 가드 찬 따뜻한 한 상이 차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