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547회 고등어밥상>욕지도 고등어 양식, 욕지도 고등어 밥상, 간독, 고등어파시, 전재석 씨의 고등어 양식장, 활고등어회 고등어
<한국인의 밥상 547회>
고맙다, 고등어
2022년 2월 3일
고등어 푸른 등을 가지고 있는 은빛 물고기, 항상 밥상 한 귀퉁이에 놓여있던 국민생선이다.
지금 찬바람에 온몸 가득 기름을 채워 가장 맛있는 제철이라는데, 제주 인근바다에서는 고등어 잡이로 불야성을 이루고 있다.

값싸고 흔한 생선으로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DHA 등 영양도 풍부하여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인기 1위인 생선으로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고등어구이 지글지글 고등어 굽는 냄새만으로도 옛 추억이 떠오르고 땀내 가득한 고된 날들의 마음의 허기를 채워주는 오랜 친구 같은 우리네 생선 고등어이다.

# 고등어 양식으로 옛 영광을 꿈꾸다. 욕지도 고등어 이야기
욕지도는 통영에서 배로 1시간가면 한려수도 끝자락에 자리 잡은 곳으로 한때는 고등어 파시가 설만큼 고등어 잡이로 유명했던 곳이다.
욕지도 사람들은 집집마다 고등어를 소금에 절여서 보관하던 간독이 있었고, 배가 돌아오는 날이면 아이들은 길에 떨어져 동전 줍는 게 일이었을 만큼 고등어 덕분에 돈도 사람도 넘쳐나던 섬이었다.

지금은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욕지도 바다에는 고등어 잡이 대신 고등어를 키우는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전재석 씨는 30여 년 전 처음 고등어 양식을 시작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양식장을 지키고 있다.
어린 고등어를 잡아 먹이를 줘 키우는 고등어 양식 덕분에 살아있는 생태의 활고등어를 맛 볼 수 있게 되었단다.


전국에서 팔리는 고등어회는 대부분 욕지도산 양식 고등어라고 한다.
‘고등어회’는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나는 싱싱한 회에 한 번 빠지면 헤어나올 수 없다는데, 고등어회를 썰어 여러 가지 채소와 함께 무쳐내면 욕지도 아니면 맛보기 힘든 별미란다.

‘고등어죽’은 고등어를 푹 삶아 체에 거른 다음 끓이는데, 신선한 활고등어가 아니면 맛보기 힘든 귀한 음식이다.
흔한 고등어도 마음껏 먹기 힘들었던 시절 자식들을 위해 버려지던 고등어로 주어다가 손에 가시가 박히도록 죽을 끓이고, 콩가루로 ‘고등어전’을 부치던 옛 일들이 떠오르고, 눈물을 삼키며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온 지난날들도 이제는 웃으며 추억할 수 있는 고단했던 섬사람들의 위로가 되어준 고등어밥상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