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한국인의 조림 밥상 > 옥천 민물고기 조림, 밥도둑 손두부조림, 어부 유길종, 보양식 생선국수, 마주와 참마주 뭉글하게 조림
<한국인의 밥상>
졸이고 조리다. 한국인의 조림 밥상
긴 시간 뭉근하게 조리기만 하면 더 진하고 선명해지는 풍미.
재료의 핵심만 응축시킨 맛의 용광로.
선조들의 오래 두고 먹고자했던 지혜가 스며있는 궁극의 조리법으로 한 눈팔지 않고 정성을 드려 조려낸 우리의 조림 밥상을 만나본다.


충북 옥천, 다시 돌아온 조림의 주인공 민물고기 조림
옥천의 장수마을은 비옥한 금강의 한 줄기가 둘러싸여 있는 마을로 마을 사람들이 봄맞이 냇가 사냥에 나서는데, 어른 팔뚝만한 잉어 월척이 연달아 두 마리 나온다.
마을의 유일한 어부인 유길종 씨는 잉어보다 더 반가운 손님을 발견하게 된다는데, 대청댐이 생긴 이후 개체 수가 줄어들면서 요즘은 보기 힘든 마주, 참마자라고 한다.


다시 돌아온 토종 민물고기를 반기며 유길종 씨와 동네 사람들이 차려내는 추억의 밥상을 차려낸다.
봄이 찾아오면 장수 마을 사람들은 냇가에서 천렵을 즐기는데, 이곳 사람들의 힘의 원천은 바로 민물고기 요리라고 한다.
어릴 적 베고픈 시절에 유일한 보양식이었다는 얼큰한 생선국수.


옥천에서만 맛 볼 수 있다는 깊은 맛의 조림과 민물생선 중에서도 성질이 급함 마주는 잡히면 바로 죽어버린다고 한다. 마주는 신선한 매운탕보다는 뭉근하게 조려낸 조림이 제격이란다.
다시 돌아온 토종 만물고기 마주와 참마주에 장맛을 내어주고 무와 양파를 갈아 넣고 메주콩의 구수함까지 더하여 4시간 동안 푹 졸여내면 완성된다.


어머니들이 마을의 전통 손두부 만들기에 나서는데, 어르신들은 더욱 힘이 나게 만들었던 건 동네 가득한 아이들의 웃음소리라고 다시 돌아온 민물고기만이 아니라고, 반가운 물고기와 더불어 귀농한 젊은 가족들 덕분에 마을이 활기를 다시 찾을 수 있었다.
감칠맛 넘치는 민물고기 조림에 정성을 담아낸 밥도둑 손두부 조림까지 마을의 정이 담겨있는 조림 한 상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