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다큐 온>대한민국임시정부 103년의 약속, 임시정부 27년 여정, 한국광복군, ‘임시헌장’ 10개 조항, 임시정부 ‘주화대표단

꿀이꿀이 2022. 4. 7. 23:20
반응형

<다큐 온>

대한민국임시정부, 103년의 약속 ( 대한만국 임시정부 27년 여정, 한국광복군, ‘임시헌장’ 10개 조항, 임시정부 주화대표단)

 

103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의 해를 맞아 202231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개관되었다.

 

 

대한민국의 근간이 된 임시정부의 기록과 기억이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개기가 되었고, 국민이 세운 나라 대한민국이 지나온 100여 년의 역사와 앞으로 열어나가야 할 새로운 100년의 미래를 생각해야 한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위에 세워진 대한민국

19194월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11항으로 하는 임시헌장’ 10개 조항을 공포했다.

임시헌장은 독립된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여야 하는지, 임시정부의 고민이 고스란히 감겨져 있는 대한민국의 최초의 헌법이다.

 

 

1948년 해방한 이후 제헌헌법으로 계승됐고, 1987년 개정된 9차 헌법으로 이어지며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는 임시정부를 토대로 하여 대한민국의 국가 정체성, 그 시작점부터 차례로 되짚어 볼 수 있다.

 

# 대한만국 임시정부, 27년 여정을 쫓다.

임시정부의 직속 군대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가 된 한국광복군, 임시정부는 광복군 내에 선전위원회를 만들어 군사 활동과 국내외 홍보 활동도 체계적으로 펼쳐갔다,

항일 음악을 만들어서 예술로 구국 투쟁을 실천했던 새로운 광복군의 기록도 담겨져 있다.

 

 

임시정부는 국민주권의 대표기관이며 독립운동의 중심축이 된다.

그러나 19458월 일본이 패망하며 임시정부가 자력으로 이끌고자 했던 조국 정부의 계획이 다소 허무하게 무산되었다.

27년 여정인 독립만을 열망하며 걸어왔던 임시정부의 발자취를 뒤쫓는다.

 

 

# 환국, 희망을 품고 돌아온 그 후

194511월 임시정부 요인들이 귀국길에 오르고, 개인 자격의 환국이었다.

미군정은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국민들은 달랐고, 두 팔 벌려 뜨겁게 그들은 맞이했다.

동포들을 위해 중국에 남은 이들이 있었는데 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이다.

동포 귀국과 광복군 업무 등을 맡아 정부의 역할을 끝까지 수행하고, 임시정부가 꿈꿨던 국민들에게 보여주고자 했던 대한민국의 모습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알아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