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인사이트>전영애 인생정원, 일흔둘 노학자 여백의정원, 여백의 정원의 사계, 서울대 노학자 인생정원, 괴테 연구자, 여주 여백서원의 뜰
<다큐인사이트>
인생정원
일흔둘, 여백의 뜰
학문과 인생의 정점에 선 일흔둘 노학자의 인생정원
“고생하며 산 줄 알았는데, 돌이켜보니 제가 받은 게 훨씬 많더라고요. 그래서 이제는 조금 나눠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로서는 이것이 세상에 진 빚을 갚은 방법입니다.”

일흔 두 살의 노학자 전영애 씨는 홀로 1만 제곱미터의 뜰과 서원을 가꿨고, 사람들에게 내어주고 공유하는 세상을 향한 전영애 씨의 뜨거운 사랑이 담겨져 있는 여백의 뜰의 사계를 만난다.

땅 위에 쓰는 시, 찬란했던 여백의 1년
여백서원은 경기도 여주에 자리한 맑고 흰 빛이라는 뜻의 서원은 꽃들의 정원이자 나무의 고아원이다.
서원에는 버려지고 못 자라는 나무들을 옮겨 심었고, 수십 종의 맑은 꽃들도 치고 진다.
1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뜰을 돌보는 것은 오로지 일흔 두 살의 전영애 씨의 몫이라며 그녀는 ‘3인분 노비’ 자칭한다.

그녀는 글을 쓰다 머리가 아프기라도 하면 무조건 정원으로 나간다고, 정원 일을 하다 보면 잡념은 사라지고 땅 위에 몸으로 시를 쓰는 것처럼 가슴 벅찬 희열이 차오른다고 한다.
그녀의 땀과 세월로 가꾼 여백의 뜰의 아름다운 1년이다.

삽자루와 장화, 펜과 책
삽자루와 장화에 후줄근한 티셔츠가 평소 전영애 씨의 복장으로 영락없는 일꾼이며, 홀로 정원을 가꾸어 그녀의 손은 차라리 연장에 가깝다고, 그러다 밤이 되면 삽자루 대신 펜을 손에 쥐는 그녀는 수만 권의 장서가 보관된 서원한 구석에서 밤새 책을 읽으며 번역도 하고 글도 쓴다.

전영애 씨는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이자, 세계적인 괴테 연구자이자, [파우스트] [데미안] 등을 번역한 이름난 번역가다.
그녀는 정원에서는 3인분 노비, 책상에서는 수험생처럼 시간을 부지런히 경작하는 일흔둘의 그녀는 무엇이 이토록 뜨겁게 움직이게 하는 것일까?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누군가의 옆에 그냥 다가서서 가만히 서는 일인 것 같아요. 그 마음을 알아주는 것이죠. 저 사람이 어디가 아프겠다. 그 마음을 안 다다는 건 어마어마한 감싸 안음이에요.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일들로 아프고 외로운 이들 곁에 가만히 서 있고 싶을 뿐이에요.”

세상 빚을 갚아나가는 마지막 여정
여백의 뜰과 서원을 일반인들에게 내어주고 공유하고 있는 그녀는 누구라도 뜰을 거닐며 잠시 쉬어갈 수도 있고, 서원에서 책을 읽으며 나를 돌아볼 수 있게 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단순한데, 어릴 적 그녀의 부모에게 받은 극진한 사랑 때문이라고...
그녀가 세상의 풍파로 흔들릴 때마다 자신을 붙들어준 것은 몸이 기억하는 사랑이었다고, 괴테의 [파우스트]에 ‘사람을 마지막 실족에서 물러서게 하는 것은 사랑’이라고 했다.

전영애 교수가 여백의 뜰과 서원을 애써 가꾸며, 어린아이, 학생, 청장년 모두와 공유하는 건 그러한 사랑을 나누고 전하고 싶었던 까닭이란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랑을 전하며 힘껏 박수치고 응원하는 노학자의 퍽퍽한 가슴에 여백을 내려는 것이다.
“‘리벤 벨레프 사랑이 살린다.’ 괴테가 죽기 전 2년 전인 81세에 쓴 글이에요. 이 짧은 글에 노년의 지혜가 응축돼 있는 거죠. 사랑은 그냥 인간이 생각한 최고의 것에다가 붙인 이름이에요. 사랑을 정의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일흔둘 노학자가 전하는 인생잠언
2022년 2월 말부터 12월까지 여백서원의 뜰을 오갔던 1년 학자로 50년을 살아온 전영애 교수의 방대한 지식과 정원 일을 통해 쌓아온 인생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이다.
맑고 순수한 성정을 지닌 그녀의 삶과 자유,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들의 의미를 한 번쯤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었으면 한다.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든 바르다.’ 바르게 살면 손해 볼 것 같지요? 아니에요. 일흔두 해 살아봤더니 바르게 살아도 괜찮아요. 바르게 산다고 꼭 손해 보고 사는 것 아니에요.”
노학자 전영애 교수의 이름다운 정원의 사계와 일흔둘 노학자의 인생 지혜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