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명의 감염>소화기내과 유수종 교수, A형 간염 B형 간염 C형간염 원인 치료법, 조용히 서서히 무섭게 감염, 바이러스성 간염

꿀이꿀이 2023. 2. 23. 00:02
반응형

<명의>

 

감염

 

조용히 서서히 무섭게, 감염

 

바이러스성 간염이 간암 원인의 약 70%를 차지한다.

A, BC형 간염 등 다양한 종류의 간염.

 

간암 원인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며 알코올이나 지방간보다 간암 발병률을 높이는 바이러스성 간염.

 

A, BC형 간염의 원인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간염의 유형에 따라 예방법과 치료법이 다르다.

 

 

A형 간염

 

간세포와 간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잠복기간은 28일이며, 대변과 구강을 통해 전파된다.

대변에 오염된 물과 음식 등 섭취하는 과정과 주사기나 혈액제제를 통해 감염이 된다.

증상 : 발병초기 발열과 피로감, 설사, 메스꺼움, 구토, 식욕감퇴

치료 : 대부분 치료를 하면 문제가 없고, 치료하면 몇 달 내 회복하고 완치된다.

 

 

B형 간염 (어학사전)

 

정의 :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서 간에 만성 염증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원인 : 간과 혈액 속에 많이 존재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되며, 주삿바늘, , 칫솔 등 함께 사용하는 경우, 성관계 등 감염될 수 있다.

증상 : 대부분이 무증상이며, 식욕이 없어지거나 피로감, 구토, 발열, 관절통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흰자위가 노래지는 황달, 짙은 소변, 몸 가려움이 동반된다.

치료 : 95% 이상 보전적인 치료로 호전되며, 안정을 취하고 풍부한 단백질을 섭취하고, 금주한다. 필요시 항바이러스제, 페그인테론 주사제 치료한다.

 

 

C형 간염 (어학사전)

HCV에 감염되어 생기는 간의 염증, 주사, 성행위 등 감염자의 혈액이 접촉될 때 감염된다.

대개는 급성으로 출발해 만성으로 진행되며,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경우 간병변과 간암으로 발전되기 쉽다.

예방 접종이 없어 경로를 피하는 것 외에 사전 예방 어렵다.

 

 

소화기내과 명의 유수종 교수와 간염을 완벽히 정복할 날을 꿈꾸며 간염의 원인과 증상 다양한 치료법을 배운다.

 

조용히 서서히 하지만 무섭게 찾아오는 간염

A, B, C형 간염 중에 B형 간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간염으로 인구의 약 3%가 감염된 상태로 약 40만 명이 만성 B형 간염을 앓고 있다고 추산한다.

간은 침묵의 장기라 불리는데, 간염이 특별한 증상이 없이 조용히 찾아오기 때문에 무서운 이유이다.

B형 간염은 모친을 통해 수직으로 감염을 통해 전염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경로로 노출되는 간염 바이러스.

 

 

한 번 예방접종을 하면 평생 간염에 걸리지 않는다?’

 

식기를 공유하면 전염된다?’

 

감염된 산모는 모유 수유를 할 수 없다?’

 

감염의 원인은 감염 무엇일까?

술잔을 돌리거나 식기를 공유하고 산모가 모유 수유를 하면 자녀들에게 전염되는지...

 

 

젊을수록 주의하라, A형 간염

10년 전 민물 낚시터에 방문한 이후 갑작스러운 오한과 구토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 죽을 고비를 넘기고 기적처럼 살아난 40대 남성은 급성 A형 간염에 걸려 급성 간 기능 부전이 와 단 10일 만에 응급으로 뇌사자 간을 이식받았다.

과거 A형 간염은 어린 시절 흙장난을 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자연스럽게 항체가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경제 수준과 생활환경이 개선되며 요즘은 A형 간염 항체가 없는 성인들이 늘어났다.

 

 

간염, 완치의 길이 열리다.

60대 여성은 30여 년 전 출산 중 수혈을 받다 C형 간염에 걸렸지만 지금은 완치 되어 건강한 삶을 살고 있다.

그 당시 치료제 인터페론을 복용했지만 혈소판, 백혈구 수치가 떨어져 극심한 부작용에 시달렸지만 현재는 C형 간염 치료제가 개발되어 8주 만 먹어도 99% 완치가 가능해졌다.

A, B형간염은 완치제가 아직 없지만, 백신을 접종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명의

 

유수종 교수

 

서울대학교 소화기내과 전문의 의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