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명의>이태희 소화기내과 교수, 악성변비 원인, 항문거근증후군, 이태희교수의 변비치료법

꿀이꿀이 2023. 3. 9. 22:36
반응형

<명의>

 

악성변비, 원인부터 찾아라

 

변비는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봤을 것이다.

혼자 남들에게는 말을 못하고 시름시름 앓기만 했을 것이다.

만성 변비란 일시적인 변비 증상이 아닌 6개월 이상 지속되며 더 이상 숨겨서는 건강이 위험해질 수 있다.

사람에 따라 변비의 원인도 여러 가지로 제대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변비]

 

정의 :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돼 원활한 배변 활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1주일에 2회 미만, 굳은 변이 나오거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 변비로 진단한다.

 

원인 : 대부분 불규칙한 배변 습관이 원인이다. 식사를 충분히 하지 못하거나,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았을 때, 나이 운동부족,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여성에게 발생하는 변비의 주용 원인은 다이어트, 임신, 생리, 스트레스이다.

 

증상 : 복부 통증, 복부팽만감, 잔변감, 항문통증, 항문출혈, 배변시 과도한 힘이 들어감, 변이 과도하게 단단함, 치질, 치핵,

 

진료과 : 노년내과, 소아 청소년과, 소화기내과

 

관련질환 : 대장암, 직장암, 위장과 기질 종양, 뇌하수체 기능 부전, 치핵, 장폐색, 고칼슘혈증

 

치료 : 식이요법, 생활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만성 변비는 식욕 부진, 소화 불량을 우발하며 변비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우울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두 달에 변을 못 보는 건 일도 아니라는 60대 여성은 마사지도 받고 좋다는 약도 찾아 먹어봤지만, 그녀의 장은 감감무소식이라는데, 심각한 변비의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 병원을 찾아 6가지의 검사를 받아 검사 결과는 변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긴 서행성 변비와 직장에 힘이 약한 배변장애형 변비라는 판정을 받았다.

 

서행성 변비 : 장 건강이 무력해지면서 음식물이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된다.

 

배변 장애형 변비 : 배변할 때 골반저근육과 항문괄약근이 이완되지 않고, 협조되지 않는다.

 

정상 통과형 변비 :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과 중첩되어 발생한다.

 

 

지난 시간 몸무게가 14kg이나 줄어들 정도로 변비로 고통 받고 있는 50대 여성은 검사 결과 대장에만 문제가 있는 것을 아니었다.

그녀의 문제는 음식이 몸속으로 들어가는 식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과연 변비는 어떤 기관들의 영향을 주는지.

 

 

60대 남성은 4년 전 변비와의 10시간 사투 끝에 119에 도움을 요청했다.

반복되는 항문통에 탈진을 겪으며 응급실에 실려 간 그에게 변비는 가벼운 질환이 아니었다. 항문통은 항문 근육에 문제가 생기는 항문거근증후군이다.

 

 

내과 전공의를 준비하던 30대 남성의 경우, 우연히 찍힌 X-ray에서 대장 장벽 내의 신경절세포 일부가 감소하여 대장이 커지는 대장저신경절증을 발견하였다.

 

 

명의 소화기내과 이태희 교수가 변비의 여러 가지 원인과 치료법, 변비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