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인의 밥상 515회 안동> 어뱅이 어부 20명, 여선장 황정숙 씨와 아들 김현씨, 안동 도산면 민물고기, 안동호밥상, 메기조림과 붕어찜, 엄원조 할머니의땅콩가루 오징어무침, 안동댐 양수겸..
꿀이꿀이 2021. 6. 10. 13:32<한국인의 밥상 515회>
얼쑤 안동이라, 새로운 전통의 밥상
2021년 6월 10일 7시 40분 방송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시 안동.
음식 문화의 원형을 찾아가는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으로 향해 간다.
# 안동 도산면 민물고기
안동의 여선장, 희망찬 내일을 향해 출항하다.
1971년 안동호가 착공하게 되여 1976년 준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양수겸용 발전소인 안동댐으로 형성되어진 호수, 이 호수는 옛날 안동에서 어뱅이라 일컬었던 어부이 20여 명 정도 있다고 하는데...
어부들 가운데에 특이하게도 30년 경력의 여선장 있다.
여선장은 그전에는 남편과 함께 일을 시작하였다가 이제는 아들이 물려받아 겨울에는 빙어, 지금은 붕어, 잉어, 메기 들을 잡아 생계를 이어왔다고 하는 황정숙 (58세) 씨와 아들 김현(32세) 씨가 있다.
황정숙 씨는 현재에는 어부로 살고있지만 그녀의 소박한 꿈 하나가 있다면 본인의 음식점을 하나 차려보고 싶다고 하며 솜씨 자랑을 하는 정숙 씨의 안동호 밥상을 소개한다.
황정숙 씨가 가장 자신 있게 잘 하는 음식은 가족들이 각자 일을 하고 집으로 오게 되면 자주 해먹었던 추억의 음식인 메기조림이다. 이와 더불어 붕어에 고추장 양념을 듬뿍 얹어서 요리한 붕어찜도 정숙 씨의 일품요리 중에 하나이다.
이웃집에 사시는 엄원조(88세) 어르신도 손자 같은 김현 씨를 위해 어르신만의 독특한 오징어무침을 선보여 주신다.
엄원조 할머니는 오징어를 삶으면 맛이 싱거워진다고 프라이팬에 오징어를 구워 익히신다.
오징어에 간이 잘 배어들도록 어슷하게 썰어 각종 채소와 양념을 넣고 버무린 후 시 식감까지 챙겨 땅콩가루를 넣게 되면 완성되는 엄원조 할머니 표 오징어무침이 완성된다.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는 안동의 오늘을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 이들이 만들어낸 정겨운 낙동강 밥상을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