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명의 719>

목에 잡히는 멍울, 두경부암을 의심하라

그냥 지마치기 쉬운 두경부암의 증상과 치료법, 예방법

2021611일 밤 950분 방송

피곤할 때 돋아나는 혓바늘, 알고 보면 혀를 잘라내야 하는 암일 수도 있다는데, 목소리가 쉬거나, 목이 붓고, 목에 혹이 생긴다면, 어쩌면 두경부암의 신호일 수도 있다.

두경부란 머리에서 목에 이르는 기관 중 뇌와 눈을 제외한 모든 기관을 말한다. 숨을 쉬고, 먹고, 말을 하는 기능을 하는 코와 입과 목, 그곳에서 생기는 모든 암을 두경부암이라고 일컫는다.

후두암, 구강암, 편도암을 비롯해 구인두암, 비인두암이 대표적인 암이다.

초기일 때 뚜렷한 증상이 없는 두경부암.

증상이 생기다고해도 입안에 생기는 궤양이나 부종, 목소리 변화나 목에 잡히는 멍울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어, 많은 사람들이 병원 진료를 미루게 된다. 그래서 더 빨리 발견하기 어려운 암이 두경부암이다.

두경부암은 그리 흔한 병은 아니지만 환자 수는 매년 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국민건강보험공당 자료에 의하면 201519,856명이었던 환자의 수가 201923,691명으로 늘어난 상태이다. 최근 5년간 환자 수가 20% 가까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고, 두경부암은 초기에 치료하게 되면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들은 늦게 발견된다.

초기에는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늦게 되면 치료가 어렵고 후유증도 많이 남는 병이다. 외모의 변형이 심하고, 발음, 음식 삼키는 기능이 손상되기까지 하게 된다. 암을 치료해 살아난다고 해도 심리적으로 위축감이 크고 삶의 질도 떨어지게 된다.

두경부암을 빨리 발견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떻게 치료해야할까? 치료 후 후유증은 어떻게 이겨내야 할까?

혓바늘인줄 알았던 30대의 사람은 입에 돋는 혓바늘이 통증이 심해 4주 이상 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고, 동네 병원에서 진통제만 처방 받아 일상생활을 했다. 그러나 그것은 암이었고, 구강암의 일종인 혀암, 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된 상태에 이르렀다.

입에 생기는 궤양, 음식을 삼킬 때 느껴지는 이물감, 목소리의 변화, 목의 통증 등 구강암을 비롯한 두경부암의 증상은 무척 다양하고, 공통적인 증상이 하나 있는데, 바로 목에 혹이 생기는 것이다.

두경부암의 경우 주로 목에 있는 림프절로 전이되기 때문에 병이 진해되면 목에 멍울이 잡히기 시작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혹이 통증이 없어 방치하게 된다.

자궁경부암의 원인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편도암을 일으킨다.

두경부암의 대표적인 원인은 음주와 흡연으로 알려졌고, 최근 들어 인유두종바이러스가 또 하나의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동시에 편도암의 원인이기도 하고, 두경부암 중에서도 음식이 내려가는 통로인 ‘구인두’에 생기는 암인 편도암이다.

전체 편도암 환자의 60~70%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가 발견되었고, 최근 미국에서는 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보다 편도암 발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담배를 20 가까이 피운 50대는 목소리가 쉬고 기침이 나기 시작해 감기를 의심했지만, 증상이 사라지지 않았고, ‘후두암진단을 받게 되었다.

후두암은 두경부암 중에서도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암이고, 후두의 대표적인 기능은 목소리를 내게 해 주는 것이다.

후두암은 수두에 암이 생겨 후두를 절제하게 되면 목소리를 잃을 수도 있고, 후두를 부분적으로 절제해도 수술 직후에는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

후두암과 다른 두경부암의 후유증은 입. , 목 등을 수술하는거라, 먹고 말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생명의 위협하기도 하고 삶의 질 또한 떨어지는 두경부암의 후유증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두경부암에 대처하기 위한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정보를 함께 알아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