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시사 창334>

불평등 사회가 586에게

2021620일 밤 940분 방송

“586, 변화한 시대 대응 능력 의문

19876월 민주항쟁의 주역 386세대는 이제 586이 되버린 이들은 민주화 성취를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를 이끄는 주도 세력으로 떠올랐다.

586 세대 주류 엘리트가 돼가고 있는 동안 한국은 OECD 최고 수준의 불평균 국가가 되어 버렸다. 정의와 평등을 외쳐오던 그들은 오늘날의 절박한 문제들 앞에서 권한과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이 있다면 어떤 것들인지 그간 외면해왔던 것들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져본다.

1987년 이후가 문제다.

정권교체에 실패한 이후 86세대는 사회 진출해 빠른 속도로 성장해갔고, IMF 금융위기는 역설적으로 다수의 86세대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그런 사이에 한국 사회의 불평등 수준은 86세대가 성장한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진행되어지고, 제작진은 80년대 학생운동의 주역들을 찾아 한국 사회의 불평등에 대해 물어본다.

 

 

어렵게 입을 연 86세대는 “586은 적과 싸우는 데는 능하지만 새로운 변화를 설계할 준비는 안 되어있는 세대라고 털어놓았다.

청년, 50대 세대 집중 인식조사 실시

사회 여론조사 전문가들과 함께 좀 더 깊이 시민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세대인식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20~34세 청년과 586에 해당하는 50, 두 세대에만 집중해 210개 문항, 응답자 1,20명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해, 청년 응답자의 79.7%“586세대는 한국사회의 기득권이라고 답한 청년층 내부의 인식 분화가 두드러졌다.

2021년의 청년이 1987년의 청년에게...

경제 불평등이 가져온 불안과 상실의 표현이라는 전문가들의 진단.

한국 사회 전반의 각종 사안에 대해 청년층의 내부의 소득 계층별, 성별에 따라서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가 많았고, 흔한 통념처럼 공정성에 집착하는 경향보다는 경제적 불안이 드러나는 기류도 뚜렷했다.

2021년의 청년들이 1987년의 청년들에게 묵고 있고, 권한과 힘을 가진 민주화 세대 엘리트들이 집중해야 할 한국사회의 과제는 무엇일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