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큐프라임>3부작

세계의 지붕인 파미르 단 하 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비밀의 땅

2021719~721

거대 산맥들이 만들어낸 해발 4000m의 고지 세계 최초 하나의 먹이를 놓고 벌어지는 최상위 포식자들의 신경전과, 추적과 오랜 잠복과 제작진의 집요함이 만들어낸 대작이다.

파미르고원, 한 번쯤 들어본 적 있는 익숙한 이름이지만 국내에는 거의 소개된 적 없는 비밀의 땅이기도 하다. 파미르고원은 히말라야산맥을 비롯해 텐샨, 카라코람, 쿤룬, 힌두쿠시 산맥이 모이는 곳으로 평균 해발고도가 4000m에 달한다. 수많은 산악인들이 오르는 히말라야와 달리 누구도 손길도 닿지 않은 미지의 땅. 하지만 세계의 또 다른 지붕 히말라야는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파미르 고원이 위치해 있는 타지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등의 나라들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언제나 불안한 정세에 시달리며, 쉽게 접근을 허락하지 않는 땅이다.

3부 – 고산의 사람들

파미르 고원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저지대와 고지대. 두 지역은 고도만 다른 것이 아니라 고도에 따른 식생, 사는 동물, 심지어 사는 사람들의 인종까지 다르다. 3붕서는 저지대의 타직족 사람들의 삶과 고지대의 키르기족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저지대의 사람들

파미르고원으로 향하는 길은 황량한 파미르의 고지대와 달리 꽃과 풀이 가득한 저지대의 계곡을 따라가면 마을을 형성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저지대의 계곡을 따라가면 마을을 형성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고, 이들은 타지키스탄어를 쓰는 타지크족이다. 저지대는 비교적 물이 풍부하여 과실나무가 많고 밀밭과 감자밭 등 농사를 지을 수도 있다. 이 곳 사람들의 주식은 빵으로 자신들이 농사지은 밀을 이용해 빵을 만들어 먹고 있다. 고지대에 비해 풍요롭고 풍부해 보이는 사람들의 삶도 겨울이 되면 고단하기는 마찬가지, 가축을 노리는 눈표범과 늑대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살아가고 있다.

고지대의 사람들

물도, 전기도, 나무도 없는 파미르의 고지대.

그 무엇 하나 풍족하지 못한 이곳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은 팍팍하기만 하고, 여성들은 가축을 몰고 나간 남편들을 기다리는 것이 일이고, 남성들은 야생동물의 위협에서 가축을 지키며 하루 종일 산지를 돌아다니는 것이 일이다.

아이들은 그들 나름대로 사는 법을 배우며 살아가는데, 파미르의 황량함만큼이나 단순하고도 팍팍한 이들의 삶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불어 파미르 지역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는지, 어떤 사람들이 거쳐 갔는지 파미르의 역사 소개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