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광복절 기획, 대한 독립 밥상

2021년 8월 12일 목요일 저녁 7시 40분 방송

 

 

 

독립 운동 답사기유홍준 교수와 함께 하는 답사기.

봉오동 전투의 숨은 영웅과 독립운동가들을 만나 빛을 되찾기까지 그들의 뜨거운 혼이 담긴 밥상.

 

이름조차 남지 않은 거리의 독립운동가들을 기억하다.

옛 서대문 형무소는 역사박물관이 되었고, 이곳에 한 번 들어서게 되면 잊을 수 없는 전시실이 있다.

 

 

그 곳의 전시실에는 유관순 열사, 도산 안창호 선생, 만해 한용운 선생, 15살의 어린 학생의 어린 할생까지 오천여 명이 넘는 독립운동가의 수형 기록카드가 빼곡히 벽을 메우고 있는 민족저항실이 있다.

 

 

민족저항실의 수형 기록표의 대부분은 대한독립만세를 부르짖다 투옥된 독립운동가들의 기록들이다. 그러나 이 수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의 10%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3.1운동과 6010 만세운동은 독립운동의 기폭제가 되었고, 목숨을 걸고 캄캄한 밤까지 목이 쉬도록 거리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던 이들의 이름은 지금 대부분 남아 있진 않고 있다.

‘2020 아시아 최고의 여성 셰프를 수상한 한식 요리사 조희숙 씨가 당시 거리를 누비며 만세를 부르짖었던 무명의 독립운동가들이 먹었던 음식들을 재현한다.

 

 

그 당시의 기록에 따르면 거리를 누비며 만세를 부르는 이들에게 민가의 어머니와 할머니들이 급히 만든 떡과 물을 가지고 나와 나눠주었고, 어떤 이들은 집에서 삼베에 싼 주먹밥을 미리 챙겨서 만세를 부르다 먹기도 했다고 한다.

 

조희숙 요리사가 이 기록에 셰프의 상상력을 더해 밥을 치대 만든 절편과 감자주먹밥을 만든다.

당시 서울 거리에는 100여 곳이 넘는 설렁탕집이 있었다는 기사와 기록을 토대로 설렁탕도 함께 끓여본다. 그러나 단지 맛을 위한 설렁탕이 아닌 일제의 군량으로 공출되고 남은 소뼈와 부속으로 끓여낸 이 설렁탕은 일제가 우리 독립운동가들을 고문하는 데 썼다는 참혹한 기록도 있기 때문이다.

 

 

조희숙 셰프가 만드는 음식 ‘뚝배기에 담은 신선로’ 요리는 기록에 없는 것으로 갖은 재료를 화려한 신선로 대신 소박한 뚝배기에 담아 끓이는 뜨끈한 한 그릇은 거리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바치는 조희숙 셰프의 헌정요리이다.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들의 소박한 밥상과 함께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했던 독립운동가들의 뜨겁게 빛나는 정신을 만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