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그것이 알고 싶다>

두 개의 진술 하나의 진실

 

오창 여중생 사망 사건

 

 

# 두 여중생의 비극

“이 얼마나 황당한 일입니까, 이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 철저한 수사를 통해 밝혀질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故 이미소(가명) 학생 아버지의 추모사

지난 8월 충북 청주 시내의 성안길 사거리, 아버지의 절절한 목소리가 거리를 메운 사람들 사이에 울려 퍼졌는데,

 

 

지난 512일 청주 오창읍 소재 아파트에서 극단적인 선택으로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은 두 여중생을 추모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과 목소리의 주인공은 두 여중생 중 한명인 이미소 학생의 아버지였다.

아버지는 딸이 사망한지 100일 만에 용기를 내 처음으로 사람들에게 속마음을 전했고 아버지는 취재진 앞에 선 미소의 아버지는 왜 거리로 나와야 했는가?

 

 

두 여학생의 안타까운 죽음 뒤에는 잔혹한 성범죄의 그림자가 있었는데, 올해 1월 자신의 집에서 의붓딸의 친구를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계부 하 씨(가명), 하 씨에게 성폭력을 당한 친구가 바로 미소였다.

하 씨는 이후의 조사에서도 의붓딸에게도 여러 차례 성적 학대를 한 정황이 추가로 드러나기도 했다.

 

 

10대 두 여중생이 하 씨의 범행 이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인데,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20만 명 이상의 국민이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가해자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엄벌을 요구했다.

“나 너무 아파 어쩔 수 없었어요, 1월에 있었던 안 좋은 일 꼭 해결되면 좋겠다. 나쁜 사람 꼭 벌 받아야 하잖아, 그렇지?” - 이미소 양 유서

 

 

미소의 방을 사건 이후 가족 누구도 들어가지 못했는데 추모제가 있던 날 용기를 내 들어가 방을 정리하던 아버지는 놀랍게도 숨겨져 있던 딸의 유서를 민날 수 있었다.

미소가 떠난 지 100일째 되는 날 유서에는 가족에게 전하는 미안함과 고마움, 자신에게 참을 수 없는 고통을 남긴 그날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었다.

유서에 적힌 그날이란 미소 양에게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을까, 두 친구는 왜 험께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 것일까?

 

 

# 두 개의 유서 엇갈린 진술

“그것 봤어요? 유서 써 놓은 것? 아버지는 결백하다, 이렇게 했다는 것 같은데?” - 피의자 하 씨 전 직장 동료

두 여중생이 사망한 이후 진행된 첫 공판에서 하 씨는 성폭행에 대한 모든 혐의를 부인했고, 그 주장의 근거로 의붓딸 아름이(가명)가 남긴 유서를 제시했다.

 

 

아름 양의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유서 내용 중 일부를 어렵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자신과 자신의 친구를 성폭행한 혐의가 있는 계부인 하 씨를 두고 하는 말이라고 하기 에는 다소 의아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전문가들조차 믿지 못할 정도로 모순들이 보이는 의붓딸 아름 양의 유서는 어떤 마음으로 유서를 남긴 것일까? 가해자 하 씨를 두고 다른 말을 하는 두 개의 유서가 어떤 이미를 가지고 있는지, 아직 어둠 속에 남아 있는 여중생 사망사건의 진실은 무엇일까?

 

 

# 마지막 대화, 둘만의 비밀

미소가 용기는 내 피해 사실을 알리고, 수사가 시작되었다.

그 후 3개월이란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하 씨에 대한 1번의 체포영장과 2번의 구속영장이 반려되었고, 그런 사유는 피해자들의 진술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 사건에는 물적 증거가 남아 있지 않아 피해자들의 진술이 절대적으로 주요한 성폭행 사건의 어려움이었다. 하 씨 의붓딸 아름이는 자신의 성폭행 피해 사실을 고백했지만 바로 이를 번복한 것으로 알려졌고, 피해 당사자들의 사망으로 이제 진실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두 여중생이 마지막까지 대화를 나눴던 SNS 내용을 입수해 그 안에는 아무것도 이야기하지 못했던 두 아이의 비밀과 계부 하 씨의 민낯이 담겨져 있었다.

오창 여중생 사망 사건에서 극단적 선택을 택한 두 여중생이 남긴 대화 내용을 분석해 아이들이 처한 상황과 심리를 재구성하여 엇갈린 내용이 담긴 두 아이의 유서가 어떤 의미하고 있는지, 또한 두 여중생에게 사건이 일어났던 그 날의 진실이 무엇인지 추적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