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527회>

백제 사람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충남 공주 밥상 2021년 9월 9일

 

백제인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무령왕릉이 전하는 백제의 문화와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는 백제의 숨겨진 역사를 밥상 위에 올린다.

 

 

#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맞이 밤 밥상 – 공주 정안면

 

공주시 최고령의 밤나무가 공주시 정안면 월산리에 있다.

110년 수령의 밤나무는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재래종 밤나무로 1958년 전국적으로 폐해가 컸던 밤나무 혹벌도 이겨낸 내력 있는 밤나무이다.

 

 

1,100여 가구 중 60%가 밤나무 재배 농가일 정도로 범의 주산지인 정안면은 밤으로 유명한 곳이다.

눈길 닿는 곳마다 밤나무이고, 가을을 맞아 밤 수확을 준비하는 정안면 월산리 사람들과 밤 밥상을 차린다. 공주 정안면에는 대를 이어 밤농사를 짓는 이들이 많고, 1970년대 국토 조림사업의 일환으로 밤나무를 심기 시작한 것이 토질과 기후가 밤나무 농사에 적합하여 삼한 시대에 배만한 밤이 자랄 정도로 컷 다는 명성이 오늘에까지 되살렸다.

 

 

정진국(71세) 씨는 6년 전 고향으로 귀농해 이맘때면 굵은 밤 수확을 위해 가지치기를 하느라 분주히 움직인다,

 

 

밤 수확철이 오면 고양이 손이라도 빌리고 싶을 정도로 손이 필요한데, 다행히도 장남 정원순(45) 씨가 아버지를 찾아와 손을 거든다.

 

 

대전에 사는 처제도 먼 걸음을 하고, 수확의 계절은 가족이 모이는 계절이가도 하다. 가족들과 함께 더불어 행복한 알밤 밥상을 함께 맛본다.

정안면에서는 밤 수확 철이 되면, , 반찬, 김치 담을 때도 밤이 주재료로 쓰이고, 밤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깍두기를 담기도 한다.

 

 

 

찜닭에도 밤을 듬뿍 얼려 수확의 맛을 즐기고, 정안면에서 유명한 밤 요리는 밤묵이다. 밤묵은 밤을 곱게 갈아 전분 물을 걸러내고 다시 하룻밤 두어 전분이 가라앉으면 물을 걷어내는 방식으로 정성으로 정성을 들여 만든다.

밤묵의 깔끔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인 묵맛을 본다.

 

 

또한 1급수에만 산다는 가재와 중고기로 친구들과 천렵하던 시절의 옛 추억으로 가득한 민물고기매운탕도 끓인다.

정안면의 가을은 밥상에서 시작되고,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밥상을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밤, 삼한시대에는 배만한 밤이 났다는 거짓말 같은 옛이야기도 정안면의 속살 알찬 밤 맛을 보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다.

가을을 넘어 겨울도 올 것이고 긴긴밤 군밤 맛을 즐기던 추억 속으로 떠나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