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그것이 알고 싶다>

강윤성의 ‘살인 연극’ - 담장 안의 속죄, 담장 밖의 범죄

2021년 9월 25일

 

# 전과 14범, 56세 강윤성

“내가 더 많이 죽이지 못한 게 한이 된다.”

지난 829일 오전 8시경 전자발찌를 훼손하고 달아난 강윤성이 이틀 만에 경찰서를 찾아와 자수를 했다.

 

 

강윤성이 타고 온 차량 트렁크에 피해 여성의 시신이 실려 있었고, 경찰은 그를 긴급 체포하고 신상 공개를 결정하게 되었다. 17세부터 8차례에 걸쳐 4년의 보호감호 기간을 포함해 약 27년을 교도소 안에서 생활했던 그는 전자발찌 부착 명령과 함께 지난 5월 가출소하게 됐다.

그러나 불과 3개월 만에 두 명을 살해한 살인마가 되었다.

 

# 단독확보 CCTV 영상 속 두 명의 피해자와 강윤성

“일반 뉴스에서 나왔던 거랑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을 해서...” - 강윤성 사건 제보자

수사기관의 감독 하에 있던 강윤성의 범죄는 자수 후에 세상에 드러나게 됐고, 언론은 연일 강윤성에 대한 보도를 쏟아냈다.

 

 

제보자는 보도되는 내용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CCTV 영상이 하드디스크를 건넸고, 강윤성이 살던 건물 1층을 비추는 CCTV 영상 속에는 강윤성과 두 명의 피해자가 모두 등장했다.

사건 발생 전 두 피해자는 모두 강 씨의 집을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고, 어쩌면 이 영상이 강윤성의 계속되는 범행을 막을 수 있는 단서가 되지 않았을까?

강 씨의 수상한 행동은 전자발찌를 훼손하기 전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지금까지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았던 CCTV 영상을 통해 사건 전후 시간들을 재구성한다.

 

 

# 출소 후 3개월, 강윤성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나?

“(강윤성이) 누구를 만났는데 돈을 10억 원 준다고 했어요.” - 강윤성 지인 이정희 씨

강윤성과 20년 넘게 알고 지냈다는 이정희 씨를 만나, 긴 시간 대화를 통해 정희 씨에게는 강 씨의 이야기를 들어 볼 수 있었는데, 돈 문제로 범죄를 저질렀다고 진술한 강윤성을 정희 씨는 강윤성의 출소 후 살인 직접까지 상황이 담긴 통화 내용을 들려준다.

 

 

강윤성에게 막 출소한 후 거액을 언급하며 접근한 사람들이 있어 강 씨와 나눈 70여 건의 통화 녹취 파일이 있었다. 한 전문가는 이런 일들이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고 말하며 이들은 누구였으며 결국 살인까지 저지를 만큼 긴박했던 상황은 무엇이었을까.

 

 

# 담장 안 슈퍼맨

“아마 어디서든 독방을 썼을 거예요. 그 형은 굉장히 유명한 ‘코걸이’였거든.”

강윤성과 함께 수감생활을 했다는 지인 박 씨(가명)

재소자였던 박 씨가 기억하는 강윤성은 사소한 것 하나까지 교도관들에게 항의를 하고 부조리하다고 생각되는 일이 있으면 법무부 장관에게까지 편지를 썼다고 한다.

 

 

일면 코걸이다른 재소자들에게는 불가한 일도 강 씨에게는 모두 가능한 일이었다. 여러 명의 교도소 지인들에게도 이와 같은 말을 들을 수 있었다.

또한 강윤성은 지난 시절 자신이 겪었던 일들을 자랑하며 출소하면 본인이 어떻게 살고 있을지 잘 지켜보라며 매우 자신만만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이런 강윤성의 모습은 출소 후에도 이어지고, 모두가 그 앞에서 쩔쩔맸던 강윤성이 누리던 ‘교도소 왕국’안에서의 생활은 담장 밖에서도 이어질 수 있었을까?

 

 

# 참회와 재범 사이, 강윤성의 진짜 모습은?

 

“재판 과정에서 본인이 보여야 할 모습에 대해서 이 사람은 항상 계산을 하고 있는 사람으로 보여요.” - 박지선 교수

 

강윤성은 법무부 교정지에 자신이 쓴 글을 기고하며 지난날을 참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에서도 범죄예방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고 말한다.

 

 

그는 기자들이 건넨 마이크를 발로 차며 폭력적인 모습을 보였다가, 바로 차분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강 씨의 이중적인 행동 이면의 본심은 무엇이며, 입수한 강윤성이 쓴 편지, 강윤성이 기고한 글, 강윤성이 기억하는 사람들의 증언, 그들이 강윤성과 나눴던 통화 내용까지 종합해 강윤성이라는 인격을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강윤성의 범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방지 할 수 없는지를 살펴본다.

 

 

법무부 보도 자료에 따르면 20217월 기준 보호관찰소 전담직원 1인당 관리하고 있는 전자감독대상자는 약 17, 강윤성도 단 한 명의 보호관찰관이 지켜보던 17명 중에 한 사람이었을 것이고, 전자감독 대상자의 재범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해결책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강윤성의 살인 연극에서 제작진이 입수한 자료들을 통해 지난 8월 발생한 강윤성 전자발찌 훼손 살인 사건을 재구성하고, 점치 늘어나는 전자감독 대상자와 이에 다른 감독 체계를 살펴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