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큐온>

우리 점빵

2021년 10월 2일 밤 11시 40분 방송

 

많은 사람들에게 추억이 담겨 있는 오랜 세월 동안 헌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들이 있다.

경북 영주시 봉현면 노좌1, 60년 세월 동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오래된 점빵, 점빵을 지키는 팔순의 노부부와 함께 가난해도 정이 넘치던 오래 전 그날로 돌아가는 시간 여행을 떠나본다.

 

 

# 김치는 마당에 묻고, 추억은 오래된 점빵에 묻다.

경북 영주는 사과의 고장으로 봉현면에 있는 노좌1리에는 사과 말고도 명물인 곳이 하나 더 있는데 바로 오래된 점빵이다.

권기섭(87세) 할아버지는 이 마을에서 나고 잘랐고,18살에 시집 온 박옥흠(86세) 할머니는 지난 60년 세월 동안 간판도 없는 점빵을 꾸려왔다.

점빵을 1962년 문을 열었고, 장을 보러 가려면 재를 넘어야 하는 오지 마을이기에 점빵은 주민들에게는 오아시스 같은 곳이었다고 한다.

 

 

노좌1리는 당시만 해도 인구가 제법 많았고, 점빵은 물건만 파는 곳이 아니라 시내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는 버스정류장이자 대합실이다.

또한 점빵은 인근 초등학교 선생님들에게는 하숙집이며 간이식당이기도 했던 곳이다. 언제나 이웃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던 따뜻한 사랑방이었다.

 

 

김치는 마당에 묻고, 추억은 오래된 점빵에 묻었다는 이웃 주민들이지만 젊은 사람들이 다 도시로 떠나가 초등학교도 폐교된 지 20년이 넘는 마을에서는 점빵을 찾는 손님 발길도 뚝 끊긴지 오래되었고, 백발이 성성한 두 내외만이 언제 올지 모를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 “그 놈의 정 때문에” 다정도 미움도 곰삭은 노부부의 세월

기다리는 소님 대신 파리만 극성인 점빵 앞을 오늘도 풍기행 시외버스는 빈 차로 지나간다. 어쩌다가 찾아온 손님을 앉아서 맞이하는 할머니에게 할아버지는 버럭 역정을 내고, 첫날밤부터 팔순이 넘는 지금까지 평생 아내 아까운 줄 모르는 할아버지는 야곡하기만 하다.

 

 

18살에 얼굴도 모르는 남자와 혼인하고 영주 히티재를 울며 넘어온 할머니에게 눈물 고개는 시작에 불과했다.

할머니는 점빵에서 하숙, 밭일, 5남매 독박 육아까지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랄 세월을 살았던 할머니, 할아버지는 새마을지도자라고 마을 일에 앞장서느라 가족과 집안일은을 뒷전이었다.

할아버지의 성정은 얼마나 불같았던지 밭일에 몰두해 점심때를 놓치기라도 하면 부엌살림을 다 부수고, 이웃집에 잠시 마실갔다고 대문을 잠가버리질 않나...

 

 

할머니는 지난날을 생각하면 할아버지에게 밥도 주기 싫을 만큼 미운 영감이다. 그런 할아버지가 직장암에 허리 수술로 오랜 병원신세를 지고 거동이 불편해면서 영감님을 보면 마음이 또 짠해지는 할머니는 오늘도 영감님 드실 꼬리곰탕을 고느라 아궁이에 장작을 지핀다.

 

 

# 50년 묵은 할머니의 그리움

할머니의 기억 속에는 지난 세월 점빵과 하숙집을 지키며 만났던 수많은 사람들의 얼굴이 지금도 선명하고, 그 중에서도 할머니가 꼭 한 번 만나고 싶은 사람은 둘째 딸의 초등학교 6학년 담임인 반찬화 선생님이시라고 한다.

 

 

반찬화 선생님은 딸은 가르치는 게 아니라며 중학교에 보내지 않으려던 영감님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3시간이 넘게 졸랐던 선생님이시다

어르신 제가 어제 월급 타놨어요. 그걸로 입학금 막을까요?”했던 선생님 목소리가 아직도 할머니 귓가에 쟁쟁하다. 선생님을 다시 만나면 밥 한 끼 대접하고 싶은 그리운 선생님 할머니의 50년 묵은 그리움은 언제쯤 끝이 날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