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슈 픽 쌤과 함께> 테러와의 전쟁 20년, 아프간 미군 철수 배경, 박현도 교수와 함께 미국의 속내와 아프간의 상황, 탈레반의재집권, 인도 태평양지역
꿀이꿀이 2021. 10. 3. 14:07<이슈 픽 쌤과 함께>
테러와의 전쟁 20년, 미국은 왜 아프간을 떠났나?
2021년 10월 3일 저녁 7시 15분 방송 KBS1
9.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했던 미국
2021년 8월 30일 미국은 역사상 가장 길었던 전쟁을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을 완전히 철수하며 20년간의 전쟁을 끝냈다.
미군이 철수를 시작하고 단 1주일 만에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했다.
수도 카불을 장악한 탈레반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은 불안과 혼돈으로 빠져들고 말았다.
아프가니스탄은 다시 20년 전 인권 암흑의 시대로 돌아가는 것일까?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을 빼 진짜 이유는 무엇일지?
어느 덧 한 달이 지난 아프가니스탄은 혼돈에 빠진 아프가니스탄의 상황과 미국의 속내를 박현도 교수(서강대 유로메나 연구소)에게 듣는다.
# 9.11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알카에다의 9.11 테로로 촉발되었다.
이후 2021년 미국은 ‘20년 전쟁’의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2001년 9월 11일 세계 경제의 심장 뉴욕 맨해튼 110층 쌍둥이 빌딩이 무너지고 말았다.
전 세계를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은 9.11테러는 곧바로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이 선포된다.
테러의 배후인 오사마 빈라덴을 보호하고 있던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을 공격하며 미국은 빈라덴을 사살하고 탈레반을 축출하며 아프가니스탄에 새로운 정부를 세우게 되었다. 그런 대가는 너무나도 컸다.
# 탈레반 20년 만에 재집권, 그들은 누구인가.
사실 미국이 오사마 빈라덴과 탈레반을 키우고 후원했다.
미국은 1979년 아프간을 침공한 소련을 견제하며 반소련 무자헤딘에 돈과 무기를 지원했고, 그 결과로 생겨난 것이 이슬람 급진주의 무장단체인 ‘탈레반’이었다.
1996년 정권을 잡은 탈레반은 폭압적인 통치로 아프가니스탄을 암흑으로 몰고 갔고, 그런 탈레반이 20년 만에 다시 재집권을 잡게 된 것이다.
미군이 철수한지 단 1주알 만에 아프가니스탄을 정복할 수 있는 탈레반은 누구이며 어떤 힘을 갖고 있는 것일까?
탈레반의 재집권의 이유를 아프간 역사와 지정학적 측면에서 살펴본다.
# 탈레반 2.0은 정말로 변했을까?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은 여성들이 일하고 공부하는 것을 허용하며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이슬람 정부를 구성하겠다며 지도부는 변화를 선언했지만, 국제 사회는 아프가니스탄 인권상황에 심각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실제로 탈레반의 재집권으로 부르카 미착용 여성을 처형하고 탈레반을 풍자한 코미디언을 피살하는 등 충격적인 사건이 잇따라 계속 벌어지고 있다.
아프간 정부 내각에서도 여성은 완전히 배제됐으며 UN 안보리가 지정된 테러리스트들과 지명수배자로 그 자리를 채우며 우려를 낳고 있다.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과 아프간 사람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 미군 철수의 진짜 이유는 중국 견제
미군이 철수하고 탈레반이 권력을 장악한 현재 아프가니스탄은 과연 중국에게는 기회일까 아님 또 다른 위기일까?
이렇게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전격적으로 철수한 진짜 이유는 무엇인지 박현도 교수는 중국의 움직임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은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의 주요 거점인 동시에 리튬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기회의 땅이다.

중국의 화약고인 신장위구르와 국경이 연결되는 땅이기도 한 곳이다.
중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과 국가안보를 위해 앞으로 아프간 탈레반 정권을 잘 관리해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를 안게 되었다.
미국의 아프간 철수 배경에는 중국의 관심을 아프간으로 돌리며 대신 미국은 인도 태평양지역에 집중하며 중국을 견제한다는 계산이 있는 것이다.
미국, 중국 강대국의 복잡한 셈법과 요동치는 전세 속에서 우리는 아프간 문제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박현도 교수의 강연을 통해 고민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