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명의> 최윤락 교수 손질환명의 정형외과 교수, 손이 보내는 경고 저림과 통증, 수부이식술, 손목터널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 드퀘르벵병, 팔꿈치터널증후군
꿀이꿀이 2021. 10. 15. 15:06<명의 736회>
손이 보내는 경고 저림과 통증
2021년 10월 15일 금요일
- 온종일 저리고 아픈 손 왜 아플까? 통증에서 벗어나는 방법.
- 다양한 손 질환의 종류와 정확한 진단을 받는 방법, 수술까지 손 질환의 치료에 대한 모든 것.
손의 쓰임은 일상생활 속에서 수만 가지이다.
매일 반복적으로 집안일과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과 스마트폰 화면을 누르는 손가락 등 하루 중에 자는 시간외에는 손은 끝없이 일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쓰이는 만큼 손의 건강은 악화하기 쉽고, 손의 소중함을 잊은 채로 과하게 사용하기 쉽다.
손의 뼈의 개수는 무려 신체의 1/4를 차지하고, 작은 손안에 수많은 뼈와 여러 신경이 모여 있다.
손질환 명의
최윤락 교수
신촌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교수
드퀘르벵병, 손목터널증후군, 팔꿈치터널증후군, 흉곽출구증후군, 손목 물혹(결절종), 방아쇠수지 등 병이 발생하는 위치와 원인에 따라 손 질환 역시 다양하다.
증상의 대부분은 손과 팔이 저리고, 통증이 오는 것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하거나 병의 원인을 찾지 못하게 되면 제대로 된 치료를 받기 어렵다.
2018년 장기기증 관련법이 개정되면서 국내 수부이식술 시행이 합법화 되었고, 사고 후 장애를 지니고 있다가 수부이식을 받은 환자까지 손과 팔에 생길 수 있는 질환과 그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아낌없이 쓴 손에 찾아온 손목터널증후군과 드퀘르벵병
집안 곳곳을 쓸고 닦는 일에 손이 아파 행주를 꽉 짤 수 없고 그릇을 놓쳐 깨트리고,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 터널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정중신경이 눌리면서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터널증후군 4가지 원인]
손목을 많이 사용함으로 횡수근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터널이 좁아져 발생하게 된다.
손목 부위 골절 및 탈구로 인해 신경이 눌려 발생한다.
류머티스, 관절염, 통풍으로 발생한다.
감염, 외상으로 부종에 의해 발생한다.
[손목터널증후군 예방법]
1. 평소 생활습관, 간단한 스트레칭을 예방이 가능하다.
2. 집안일 스마트폰 사용 등 과도하 손목 사용을 자제한다.
3. 체중관리
4. 손목 보호대를 착용한다.
5. 손목 스트레칭을 자주해준다.
드퀘르벵병은 엄지손가락을 들거나 벌리 때 쓰는 ‘건초’라는 힘줄에 지속해서 자극이 가면 건초에 염증이 생기고 주변 압력이 높아지며 발생하는 질병이다.
# 손이 아픈 원인을 찾아라,
흉곽출구증후군과 팔꿈치터널증후군
손이 저리고 아픈 증상은 비슷하고 진단되는 별명은 모두 다르다.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발견하는ㄴ 것이 중요한데, 때로는 원인을 몰라 힘들어하는 경우도 많다.

흉곽출구증후군은 흉곽출구란 쇄골과 첫 번째 갈비뼈 사이를 뜻하고 있으며 위쪽에는 사각근이 있는 곳으로 이 부위의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팔 저림과 통증이 발생한다.
60대 남성의 경우 골프와 텃밭 가꾸기를 즐겨했고, 그는 팔꿈치터널증후군을 진단받고 손가락이 저리기 시작하더니 한쪽 팔이 무감각해져 손가락을 마음대로 튕길 수 없게 되자 수술을 받게 되었고, 원인은 팔꿈치 터널을 지나는 척골 신경이 눌렀기 때문이었다.
수술로 팔꿈치 안쪽에 척골 신경을 감싸고 있던 인대와 근막을 자르고 척골 신경이 눌리지 않게 위치를 이동시키면 된다.

[팔꿈치터널증후군]
척골 신경이 팔꿈치 부위에서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병증으로 수근과증후군 다음으로 흔한 포착성 신경병증이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팔꿈치 통증과 함께 약지와 새끼손가락 통증과 저림이 대표적이다.
# 희망을 잇는 수부이식술
과거 지하철 사고로 한 여성은 한쪽 손을 잃게 되었는데, 사고 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여전히 일상생활이 쉽지 않다.

그녀는 의수를 착용하고 지내고 있는데, 그녀에게 찾아온 희망은 수부이식이었다.
2018년 장기기증 관련법이 개정되면서 우리나라도 수부이식이 합법적으로 가능해졌다. 2021년 1월 장기기증관련법 개정 이후 최초로 뇌사자의 팔을 이식하는 수부이식술이 이뤄졌다.

3년 전 작업 중 사고로 한쪽 손을 잃은 남성은 약 17시간 동안 진행된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나게 되었다.
수술이 끝난 후 약 8개월 지난 지금 그는 과연 어떤 상태일지 손의 움직임과 감각이 돌아오고 있는지. 수부이식술의 조건과 수술과정 수술 후의 모습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