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새롭게 차리다 – 한국인의 전통 밥상

20211021일 목요일

소중한 우리의 유산인 전통 밥상이 새 옷을 입는다.

입에서 입으로 손에서 손으로 전해지는 끝없이 진화하고 있는 전통 밥상을 만난다.

한류가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고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속에는 전통적인 사랑을 받고 한국의 맛을 이어가며 알리려고 사람들의 노고가 숨어 있다.

 

 

전통은 그 존재 자체로 소중하고 보존해야만하지만 꼭 전통이라고 해서 옛것으로 남아 있을 필요만은 없다.

원형을 유지하되 현대인들의 입맛과 다양한 건강한 식자재에 따라 전통 음식도 날마다 새로워지고 있다. 새로운 시각으로 한식을 바라보는 이들은 더 새로운 방식으로 전통을 이어가고 있고, 어머니들의 전통 손맛을고이 담아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먹는 밀키트를 만들고, 가정식으로만 먹던 홍게장을 대중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한국의 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주를 빚는 전통에 새로움을 더한 밥상을 만난다.

 

강원도 홍천군 – 나만의 누룩으로 만든 좋은 우리 술

강원도 홍천은 공기 좋고 물도 맑은 곳으로 에기에서 전통주와 사랑에 빠진 부부가 살고 있다.

 

 

남편 장희철 씨는 범벅을 만들기에 한창이고, 노란 단호박 술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변호사로 로스쿨 교수로 바쁜 시간을 보냈던 희철 씨는 10여 년 전 아내와 함께 이곳으로 귀촌을 했다.

장희철 씨는 이곳에서 여러 번 실패를 겪으며 자연 상태에서 숙성과 발효시킨 자신만의 누룩 만들기에 결국 성공을 거뒀다.

 

 

아내인 조인숙 씨는 처음으로 술 빚기를 업으로 삼는 걸 반대했지만 남편의 노력하는 모습을 버며 그 뜻을 받아들여 지금은 가장 든든한 지원자가 되어주었다.

 

 

[예술]

주소 :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동창복곡길 259-9

전화 : 033-435-1120

 

백암산 자락에 문화체험관과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고, 전통 소주 내리기, 전통주 빚기, 모주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술도가 안주인으로 살다 보면 안주 솜씨는 자연스럽게 늘 수밖에 없단다. 방아잎을 따서 그사이에 돼지고기와 갖은 양념을 넣어 버무려 넣어 전을 부쳐낸다.

뿐만 아니라, 연근 속에 명란을 넣어 전으로 부치면 술안주로 제격이란다.

 

 

장희철 씨는 항아리에 삼겹살을 구워 증류수 소주와 먹으면 좋을 안주를 따로 준비하고, 서로를 아끼고 위하는 부부가 전통주와 만나 새로운 삶을 찾은 이야기를 만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