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새롭게 차리다 – 한국인의 전통 밥상

20211021일 목요일

소중한 우리의 유산인 전통 밥상이 새 옷을 입는다.

입에서 입으로 손에서 손으로 전해지는 끝없이 진화하고 있는 전통 밥상을 만난다.

한류가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고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속에는 전통적인 사랑을 받고 한국의 맛을 이어가며 알리려고 사람들의 노고가 숨어 있다.

 

 

전통은 그 존재 자체로 소중하고 보존해야만하지만 꼭 전통이라고 해서 옛것으로 남아 있을 필요만은 없다.

원형을 유지하되 현대인들의 입맛과 다양한 건강한 식자재에 따라 전통 음식도 날마다 새로워지고 있다. 새로운 시각으로 한식을 바라보는 이들은 더 새로운 방식으로 전통을 이어가고 있고, 어머니들의 전통 손맛을고이 담아 현대인들이 간편하게 먹는 밀키트를 만들고, 가정식으로만 먹던 홍게장을 대중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한국의 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주를 빚는 전통에 새로움을 더한 밥상을 만난다.

 

 

 

강원도 인제군 – 10년 김치 사랑 빛을 발하는 순간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중 하나인 김치는 빼놓을 수 없다.

김치는 쌀밥에 가장 잘 어울리는 반찬으로 사시사철 우리의 밥상에 올라오는 기본 반찬 메뉴이다.

 

 

강원도 양구군에는 지금 여름 배추 수확이 한창이고, 직접 산지에서 배추 상태를 확인하고 회사로 운반하는 김정학 씨는 10여 년째 김치를 만들고 있다.

김치는 해외 시장에서도 인기가 뜨겁다.

 

 

김치 담글 때 가장 중요한 건 염장이고 그 다음이 육수가 중요하다는 김혜란 씨는 이곳에서 김치의 맛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다.

강원도의 특색을 살려 황태의 국물을 내고 공장 과정에서 꼼꼼하게 관리를 해야 균일한 맛을 낼 수 있다고 한다.

 

 

김장할 때 항상 남아 있는 청잎으로 김혜란 씨는 청잎을 잘 묵혀두었다가 소금기를 빼서 양념을 한 후에 돼지 등갈비를 감싸 등갈비 청잎 김치찜을 만든다.

 

 

또한 메밀전을 부칠째 반드시 통메밀을 갈아 부쳐야 전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단다. 전을 부치는 솜씨가 보통을 넘는 올케 숙자 씨의 도움을 받으며 김치메밀전을 부쳐낸다.

강원도에서 많이 해 먹는다는 코다리메밀전을 넣어 김치술국부터 상에 올라갈 다양한 김치들을 만들며 한국인의 밥상에 절대 빠질 수 없는 김치를 알아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