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인의 밥상>

가을 향을 담다 – 버섯 밥상

20211028일 목요일 밤 740분 방송

 

 

숲속 가장 깊은 곳에 숨어있던 생명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가을 산이 아름답게 물들어 간다.

귀한 송이, 그물 버섯, 가지버섯, 말뚝버섯, 석이버섯 등 산 사람들의 뜨거운 땀과 추억을 가득 품은 가을 산이 내어준 가장 귀한 선물 버섯이다.

 

 

표고, 수행자의 마음을 채우다.

경상북도 안동 왕모산의 높은 곳에 야생콩이 지천으로 자라고 있는 산중 갚은 곳에서 흘러가는 구름처럼 살고 싶어 ‘운산’이라는 법명을 가진 스님이 혼자 자급자족하며 홀로 수행중인 암자다.

 

 

왕모산 산자락에는 2천 개가 넘는 참나무 원목들에서 표고가 한창 제철을 맞아 표고버섯 덕분에 인연을 맺고 있는 사찰음식전문가인 여일스님이 산중 암자를 찾아왔다.

 

 

사찰에서의 버섯은 육식을 금하기에 버섯으로 단백질 등의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식재료로 버섯 중에서도 표고는 대부분의 사찰음식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식재료이다.

 

 

이곳 운산 스님은 재배하는 콩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작은 야생콩으로 메주를 쑤어 장까지 담그고 있다. 야생콩과 표고로 밥을 짓고 말린 표고는 가루를 내어 천연조미료로도 쓰이고, 채수를 만들 때도 빠지지 않고 있다.

 

 

표고 채수로 은근하게 국물을 내어 국수를 말아 고수양념장을 얹으면 스님들의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고 해서 ‘승소’라 부르고 있는 ‘사찰국수’가 만들어진다.

 

 

그렇지만 표고는 소금만 뿌려 그대로 구워먹는 것이 가장 맛있다고 한다.

자연이 준 그대로를 모든 사람들의 노고에 감사하며 욕심내지 않으며 단순하게 살아가고 깨우침을 얻은 수행자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표고밥상을 만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