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인의 밥상 357회>문견 장덕금 이옥금 씨 부부, 우린 부부지만 따로 또 같이 산다, 남편의 돼지족살과 능이제육볶음, 아내의 들깨 토란탕과 돼지껍질냉채
꿀이꿀이 2021. 11. 18. 15:20<한국인의 밥상 357회>
내 집 내 밥
내 손으로 지은 행복
2021년 11월 18일 목요일
자신이 손수 집을 짓고 행복을 찾아가는 사람들.
내 손으로 지은 집, 내 손으로 지은 밥의 한 끼에 온 정성을 다한 그들만의 밥상을 만나본다.
지급자족하며 삶을 지나 편리함을 추구하며 집을 직접 짓는다는 것은 기인들이나 하는 특별한 일처럼 느껴졌지만, 최근 다시 직접 내 손으로 ‘메이커스 붐’이 일어나고 있다.
직접 집을 짓겠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어릴 적 꿈꿔왔던 나무위의 집, 한 울타리 안에서 따로 또 같이 사는 부부의 옛집과 새집, 농촌으로 돌아온 신혼부부의 달콤한 신혼집, 홀로 사시는 어머니를 위해 효자 아들이 직접 개조한 촌집, 사는 곳을 달라지면 먹는 것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우린 부부지만 따로 또 같이 산다 – 경상북도 문경시
장덕금, 이옥금 씨 부부는 내년 봄을 위해 웃자란 미나리 대를 잘라준다.
부부는 때로는 투덜거리고 때로는 알콩달콩 재밌게 일을 하는 이들은 일이 끝나면 집으로 향하는데, 부부인데 각자의 집으로 따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부부는 한 울타리 안이지만 따로 산다는 그들은 몸이 좋지 않은 장인어른을 모시고 살 무렵 세 사람이 살기에는 불편한 집이라 그 옆에 새로운 집을 지어 남편 장덕근 씨는 그때부터 자연스럽게 한 울타리 안에서 따로 살게 디었다고 한다.
부부는 음악 취향, 취미 생활도 확연히 다르다고, 트로트를 즐기는 남편과 클래식을 즐기는 아내는 각자의 공간에서 편안한 생활을 하다 시간이 되면 각자 먹고 싶은 음식을 준비하는 시작한다.
이렇게 부부는 먹는 것은 함께 모여 먹지만 그 전에 이렇게 각자 먹고 싶은 음식을 준비하면 반찬 투정도 하지 않고, 금세 상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한 상이 차려진다.
서로 다른 입맛과 취미 생활도 다른 부부는 먼저 짜고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남편은 돼지족살과 능이를 넣은 제육볶음을 만들어내는 것과는 달리, 아내 이옥금 씨는 들깨 토란탕과 돼지껍질냉채를 만드는데, 돼지껍질냉채는 남편을 위한 음식이라고 하는데...
남편은 아내를 위해 지붕을 고쳐주기도 하고, 추울까 창문도 막아주는 남편에게 고마움이 가득 담겨 있어 따로 만들어도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부부이다.
한 울타리 속 아내의 옛집과 남편의 새집으로 그들만의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부부를 만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