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생로병사의 비밀 800회 통풍>

통풍, 극한의 고통과 싸운다.

20211124일 수요일

 

“출산을 그 순간에 고통만큼이나 아팠어요.”

“바늘 100개로 찌르는 거 같아요.”

“치통에 열 배라고나 할까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극한의 고통에 시달리는 우리나라 통풍환자는 46만 명, 2012년에 비해 76% 증가했다.

통풍은 한 때 중장년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왔지만 지금은 20~30대 통풍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통풍]

요산이라는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키는 바람을 맞아도 아플 정도라 하여 통풍이라 한다.

통풍의 원인

1) 요산의 과다 축적으로 발생한다.

2) 요산은 우리가 먹는 여러 음식이 소화되어 최종적으로 대사된 이후 나오는 물질이다. 보통은 혈액 내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된다.

3) 통풍환자의 경우 혈액 내 요산이 정상치 이상으로 높은 ‘고요산혈증’을 가지고 있다...

 

1) 발작성 관절염의 빈도가 잦아진다.

2) 침범하는 관절의 수가 많아진다.

3)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더 많아진다.

4) 관절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관절이 점차 상한다.

5) 관절염이 만성으로 발전한다.

6) 주로 팔꿈치, 귀, 손가락, 발가락, 발목 등에 생긴다.

 

통풍의 증상

1.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등 한 군데 관절이 갑자기 빨갛게 부어오른다.

2.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3. 통풍이 심하면 발열과 오한이 동반된다.

4. 관절염이 처음 생겼을 때 수일 지니면 저절로 소실되어 완전히 회복된 것처럼 보인다. 이후 상당 기간 발병하지 않다 결국 비슷한 관절염이 다시 발생한다.

5. 얇은 이불이 스치기만 해도아파서 양말을 신지 못하고 걸음을 제대로 걸을 수 없다.

6. 밤에 통증이 심해져 잠을 이루지 못한다.

(질병백과)

 

 

통풍의 원인으로 서구화된 식생활을 꼽는데,

여성들도 통풍으로부터 안전하지 않고,

50대 이후 폐경이 되면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줄면서 남성과 똑같은 통풍의 위험을 안고 있다.

이 보다 더 큰 문제는 통풍의 합병증을 들 수 있다.

치료시가를 놓치게 되면 통풍은 말기심부전증, 뇌졸중, 심근경색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유발하고 있다.

 

소리 없이 찾아와 일상을 망가뜨리는 통풍

20년째 통풍과 싸우고 있는 50대 환자는 발에서 시작되었던 무서운 통풍은 무릎과 손목, 팔꿈치 관절까지 퍼져나갔고, 해가 지날수록 반복되어지며 통증이 심해진다.

 

 

20~30대 젊은이도 방심할 수 없는 통풍

20대 후반의 젊은 통풍환자는 놀랍게도 25살에 통풍 발작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는 뼈가 부러지는 듯한 통증으로 급하게 병원을 찾아가 통풍 진단을 받았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이 일반화되고 취업, 사내 경쟁으로 스트레스가 극심한 젊은 통풍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통풍, 남성들만의 전유물 아니다.

평소 술과 담배, 기저질환이 전혀 없던 최희숙 씨는 지금의 상황을 믿을 수가 없다고 말하고 있다, 폐경기 이후 여성들에게 통풍환자가 급증하고 그녀가 통풍에 걸린 이유는 무엇일까?

 

 

통풍 때문에 복막투석까지

말기심부전증으로 복막투석을 시작한 환자는 제작진에게 전화를 걸어 통풍의 경각심을 사람들에게 일깨워 주기 위해서란다.

통증을 느끼고 찾아간 병원에서 단순히 인대가 늘어났다고 했는데, 그렇게 초기에 제재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서 그 사이 통풍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졌다

그는 현재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통풍이 단순히 관절이 아픈 질병일 아니라고 경고하고 있는데, 관절염은 통풍의 10%를 차지할 뿐 나머지 90%는 뇌졸중, 동맥경화, 당뇨병, 심근경색, 당뇨병 등 생명의 위협하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풍과 싸우며 건강한 삶을 되찾은 사람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큰 병이 되지만 정확히 알고 있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건강한 삶은 눌리 수 있는 치료가능한 질병인 통풍은 식습관과 생활습관 변화를 통해 건강을 되찾은 사람들은 만나 통풍의 예방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