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명의 743회> 박성하 교수 심장내과 전문의, 젊은 고혈압, 돌연사의 씨앗, 20~30대 젊은 고혈압 환자들, 고혈압의 합병증
꿀이꿀이 2021. 12. 3. 13:36<명의 743회>
돌연사의 씨앗, 젊은 고혈압
2021년 12월 3일 금요일
* 20대, 30대 젊은 고혈압 인구 약 127만 명
* 죽음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들의 원인 고혈압
고혈압으로 인해 돌연사를 부르고 있는 심근경색을 비롯하여 말초형관질환, 뇌졸중, 콩팥병, 심부전 등 치명적인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이 고혈압이다.
특별한 증상이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기 쉬운 질병이다.
20. 30대 고혈압 환자는 약 127만 명으로 최근 들어 인구 10명 중 1명이 고혈압 질환을 앓고 있다.
젊은 고혈압 환자 중에는 특히 비만한 경우가 많고, 비만은 유전과 함께 대표적인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 중에 하나이다.
고지방 식이나, 패스트푸드 등 서구화된 식생활의 영향이 크고, 20, 30대 젊은 고혈압 환자들은 꾸준히 늘어가는 데 반해, 인지율과 치료율은 현저히 저조하한 이유는 젊다는 이유로 치료를 미루거나 복약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다.
젊은 고혈압의 위험성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바 있고, 소리 없이 찾아와 목숨까지 위협하는 고혈압의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심장내과 전문의 박성하 교수와 함께 고혈압의 치료와 예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고혈압]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한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내질 때 가장 높고, 이 때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한다.
성인 인구의 약 30%가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으로 추정한다.
혈압의 기준(미국심장학회의 혈압기준)
정상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미만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 확장기 혈압 80~89mmHg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 이상, 확장기 혈압 90~99mmHg이상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 확장기 혈압 100mmHg이상
고혈압은 90%이상이 본태성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머지 5~10%는 명확한 이차성 고혈압에 해당된다.
유전 흡연 남성 노령화로 고혈압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
1)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유전)
2) 흡연
3) 고지혈증
4) 당뇨병
5) 60 세 이후 노년층
6) 성별 (남성과 폐경 이후 여성)
7) 식사성 요인 – Na, K, Mg, Ca의 섭취 부족, 지방 및 알코올의 과잉 섭취
8) 약물 요인 – 경구 피임약, 제산제, 항염제, 식욕억제제
젊은 나이에 고혈압으로 진단 받으면 이차성 고혈압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갑상선 기능항진증, 쿠싱병, 갈색세포종과 같은 내분비 질환이다. 신혈관 이상, 부신 종양, 부신 비대 등을 감별하기 위해 부신 CT 검사나 복부 초음파를 시행한다.
이차성고혈압은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왼치될 수 있어 원인 질환을 감별해야만 한다.

고혈압 약은 평생 동안 복용해야 하는 것일까?
고혈압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인데, 복약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치료를 미루기도 하고, 혈압약의 부작용을 두려워하는 환자들도 많다.
그렇지만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혈압약의 부작용보다도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전문의들은 안심하고 복용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중장년층에게만 생기는 줄 알았는데,” 늘어나는 젊은 고혈압 환자
34세의 나이에 고혈압으로 응급실을 찾은 40대 여성은 9년 전 약을 먹어도 사라지지 않았던 두통이 한 달 넘도록 이어졌고, 목덜미까지 뻣뻣하고 찌릿찌릿한 증상이 뒤에서 시작하여 앞머리까지 이어졌다.
결국 응급실을 실려 가 측정한 혈압이 200을 넘었고, 혈압을 조절해 퇴원 후 현재 식단 관리와 운동을 통해 정성혈압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20대 때 고혈압 진단을 받은 30대 초반의 남성은 젊어서는 큰 문제가 없을 거라 생각하고 관리를 안 했고 1년 전부터 몸이 점점 안 좋아져 몇 달 전에는 혈압이 200까지 어르더니 망막이 붓고 콩팥 기능이 떨어졌고, 그는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체중 감량을 약속했다.
중년 이상의 연령층에서 혈압이 흔히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20. 30대 젊은 고혈압 환자가 127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20. 30대에 생긴 고혈압은 무엇이 다를까?
혈압이 240까지 올라 입원한 30대 남성은 갑자기 혈압이 180 이상 올라간 경우 응급고혈압이라 한다.
고혈압을 그냥 그대로 내버려두면 뇌와 심장, 콩팥 등 다른 장기에도 손상을 끼칠 수 있고, 이 때문에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혈압이 높아진 원인을 찾아야한다.
젊은 층에서의 응급고혈압이 생긴 경우 특정한 질환이 있을 경우 가능성이 크다.
수년 동안 여러 연구를 통하여 젊어서 생가는 고혈압이 중년 이후에 생긴 고혈압보다 더 심한 합병증을 유발한다고 밝혀졌다.
미국에서 60년에 걸쳐 두 세대에 이르는 3600여명을 추적 관찰하여 그 결과 45세 이전에 고혈압이 생겨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295명으로 65세 이후 고혈압이 생겨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 185명보다 월등히 많았다고 한다.
젊어서 고혈압이 생긴 사람은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고혈압의 합병증]
머리가 무겁거나 숨이 차는 증상, 두통, 이명, 현기증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합병증으로는 심부전, 협심증, 심근경색, 신경화, 신부전, 요독증, 시력저하, 뇌출혈, 뇌졸중, 혼수 등의 뇌신경 증상
1) 뇌혈관 질환
2) 심부전증
3) 관상동맥 질환
4) 신장질환
5) 말초동맥 질환, 망막염

일상을 지배하는 고혈압 합병증
30년 넘게 고혈압을 앓고 있는 70대 남성 환자. 7년 전에 협심증 수술을 받았고, 13년째 일주일에 세 번 투석을 받고 있다. 투석하는 혈액량을 조절하기 위해 시작한 소식은 이제 습관이 됐다. 20년 전에 고혈압 진단을 받았다는 60대 남성 환자도 마찬가지다. 고혈압으로 인한 동맥경화로 팔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지난 9월에는 다섯 군데에 거쳐 스텐트시술을 받았다. 게다가 당뇨 때문에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았다. 그는 혈압과 당뇨로 곤욕을 치른 후 철저한 저염식단으로 식사한다. 이렇듯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고혈압 합병증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