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큐온>캠프 서빙고, 국가공원 1호 용산공원, 미군 임시기지 ‘캠프 서빙고’, 미8군 용산기지, 김두한 안두희 미7사단구금소,
꿀이꿀이 2022. 1. 21. 14:35<다큐온>
캠프 서빙고, 용산기지 그리고 용상공원
2022년 1월 21일 금요일 밤 10시 50분 방송
# 일제의 용산병원, 미군 임시기지 ‘캠프 서빙고’가 되다
1945년 9월 인천항을 통하여 입선하게 된 미24군단 주력, 예하 미7사단은 조선총독부 제 1회의실에서 단 10분 동안 항복조인식을 통해 38도선 이남에서 일본의 35년 지배를 공식적으로 끝내게 되었다.
1946년 미 육군수송선 펀스턴호가 인천항에 도착해 배에는 미군과 외교관 가족 187명이 타고 왔고, 일본군이 떠난 용산병영을 캠프 서빙고라 명명한 미군은 이곳에서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열게 된다.
그 당시 남한 사회에서는 좌우 이념의 갈등 속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이후 미군사고문단(KMAG) 500명을 제와한 주한미군의 완전철수까지 이어지며 혼돈의 시기를 거치게 됐다.
격변의 시기 속 담장 밖과의 전혀 다르게 흘러갔던 용산기지의 시간을 어땠을까 들여다본다.
# 단 1년, 대한민국 정부, 용산기지의 주인이 되다.
1949년, 미군은 한국에서 철군을 완료하게 됐다.
38선의 불안했던 정황에 대한 보완장치로 주한미군가고문단이 창설되고, 대한민국 국방부와 육군본부는 용산기지로 이전하였다.
우리 군이 처음으로 용산기지의 주인이 된 것이다.
정부수립 직후 국군의 뿌리가 형성되던 이 시기에 용산기지의 ‘국군 7사단’과 ‘수도경비사령부’를 창설하며 비로소 8개 사단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 후 1년 후, 6,25 전쟁이 발발하고 용산기지는 다시 미8궁에 공여되어 단 1년 동안의 대한민국 용산기지 시절의 짧았던 역사를 되돌아본다.
# 김두한, 안두희, 그곳에 머물렀던 사람들
김두한이 이끌었던 별동대는 해방정국의 혼란 속에서 우익테러단체 조직 중 하나였던 대한민주청년동맹이 좌익 활동가를 납치하여 살해하는 사건을 벌이게 된다. 이에 마 군정은 군사재판을 열어 김두한에 교수형을 선고하고 사형 전 사형 전까지 김두한이 구금된 곳이 용산기지 내 ‘미7사단 구금소’였단다.


또한 2년 후 백범 김구가 육군포병 소위 안두희에 의해 서대문 경교장에서 암살된다.
김구의 암살범은 안두희로 그가 구금된 곳도 이태원 육군형무소로 명칭이 바뀐 용산기지 내 구금소였다.
1950년 6월 24일 밤 육군 수뇌부들이 육군본부 장교클럽 개관 파티를 빌미삼아 술판을 벌였던 곳 또한 용산기지 내 현 캠프코이너 부지였다. 지금은 사우스포스트 벙커인 육군정보국 건물은 한강 다리 폭파가 결정된 곳이다.
용산기지의 해방정국과 6.25 개전 초기 역사의 인물들과 함께 했던 공간에 얽힌 이야기를 듣는다.
# 미8군, 본격적인 용산시대를 열다
미8군은 주한마군의 대명사로 6.25 전쟁으로 한국 땅에 발을 내디딘 이래 전쟁으로 황폐화한 용산기지의 재건은 ‘용산프로젝트’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군단 역사를 만들었다.

담장 밖 한국 사회가 격변의 시간을 보낼 당시 담장 안 또한 격변의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5.16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12.12 등 그날 그 순간 용산기지 안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1950년 이래 용산기지를 거친 다양한 연령대의 카투사와 퇴역 미군들의 이야기들을 통하여 우리가 몰라 더 궁금했던 그 곳의 숨겨진 모습과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어본다.


# 다가올 내일, 용산공원을 향한 사람들
2년 전 미군 장교숙소 5단지 개방과 그동안 막연하게 느껴졌던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고, 생태를 복원한 도심 속 자연 치유의 공간과 역사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평화의 공간으로 조성되는 국가공원 1호 용산공원이다.
1945년 캠프 서빙고에서 시작하여 용산기지라는 공간이 용산공원으로 변모하는 일련의 과정을 짚어본다.
1월 21일 금요일 밤 10시 50분에 방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