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계테마기행>황허 어머니의 강, 중국 최고의 역사가 사마천, 제왕의 상징 대추열매, 도교 성지 왕우산, 강따라 전설따라, 차이 나는 중국 기행
꿀이꿀이 2022. 2. 17. 11:39<세계테마기행>
차이 나는 중국 기행
거대한 대륙 구석구석 숨겨진 매력을 찾아 떠나는 중국 기행
우리가 익숙하지만 뻔하지 않은 여행지 중국
광활한 땅 덩어리만큼이나 보고 또 봐도 새로운 중국의 볼거리, 먹거리, 즐길 거리가 가득한 흥미로운 테마로 중국을 만나본다.
다채로운 중국, 진귀한 풍경이 있는 윈난성에서 보물찾기
오랜 시간 내려앉은 거리에서 즐기는 옛 도시의 맛
사람들의 믿음과 경탄을 오르내리는 길 명산 대첩
어머니의 강 황허 물길이 안내하는 강을 따라, 전설 따라 최고의 만화가가 소개하는 영웅들 삼국지 촉한 깨기
한 끗 차이로 더욱 특별해지는 차이나는 대륙 여행기

4부, 강 따라, 전설 따라
2월 17일 목요일
큐레이터 : 김성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중국 사람들에게 황허는 풍요의 상징으로 ‘어머니의 강’이다.
옛날 범람하는 황허는 재난 그 자체로 황허의 이야기는 후커우 폭포에서 시작된다.
잔잔하게 흐르던 황허가 포효하듯이 거센 폭포가 되어 후커우 폭포에서 폭포 소리와 어우러진 시 한수를 듣고, 황허의 거센 성격을 느낄 수 있다.

황허의 강을 누가 어떻게 어머니의 강으로 만들었는지...
산시성 한청에 위치하고 있는 우 임금 사당에서 만백성을 살린 치수의 지혜를 이야기한다.
황허를 다스리는 사람은 또 있다는데 스스로 황허의 물살을 거슬러 용이 된 등용문의 주인공인 사마천이다.

[사마천]
사마천은 2세기까지 중국에서 나온 역사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기>의 저자이다.
사마천은 젊어서 여러 지역을 여행한 후 조정의 관리가 되었다.
BC111년 중국 남서부지방의 군사원정에 참여했다.
태사령이었던 아버지가 죽은 후 같은 관직으로 뒤를 이었고, 태사령은 천문관측, 달력의 개편, 국가 대사와 조정의례의 기록 등을 맡는 직책이었다.
BC105년 중국 달력의 개편 작업을 담당했고, 거의 같은 시기에 중국 역사서 <사기>의 집필에 착수하여 BC90년에 완성했고 , 그에게 커다란 성공을 사져다준 이 책은 과거의 복잡한 사건들을 질서정연하게 기술했다는 점이 돋보였다.
주제가 후기의 역사서들처럼 궁정 중심의 정치적인 것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훨씬 폭넓은 사회계층을 다루고 있어 중국 역사서의 본보기가 되었다.
사마천의 사당에서 중국 최고의 역사가로 사기를 완성할 수 있었던 불굴의 의지를 느낄 수 있다. 황허의 강줄기 위로 펼쳐져 있는 아름다운 산과 협곡이 장관을 이루는 헝허산샤(황하삼협)에서 아찔한 투명 구름다리를 밝고 황허를 건너게 된다.


옛날 황제가 먹었다는 대추 열매는 동양 문명권에서 종족의 근원을 나타내고 , 씨가 하나여서 제왕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했다.
[우공이산]
열자 탕문편에서 나오는 고사성어로 문자의 뜻은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이다.
속뜻은 열심히 노력하면 결국 이룰 수 있다라는 뜻이다.
신정시(신정)의 대추 농장에서 넉넉한 시골 인심을 맛보고, 도교의 성지로 손꼽히고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지냈던 왕우산(왕옥산)에서 ‘우공이산’의 유래를 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