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명의 754회, 추간판탈출증>신진우 마취통중의학과 교수, 허리통증 고통의 사슬을 끊어라, 척추관협착증, 디스크 내장증이란
꿀이꿀이 2022. 2. 18. 22:31<명의 754회>
허리통증, 고통의 사슬을 끊어라.
-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다양한 허리 질환의 종류와 허리통증의 원인을 알아본다.
- 허리통증의 개선을 위한 비수술적 치료와 종류, 시술 과정 및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누구나 살면서 허리통증을 느끼게 된다.
성인의 80%가 허리통증을 경험하고 현대인의 고질병 중에 하나로 알려져있다.
허리는 우리 몸의 기둥인 만큼 무너지면 일상생활에 제약을 크게 받고 걸을 수도, 앉을 수도, 서 있을 수도 없고 끊임없이 찾아오는 극심한 통증은 삶의 의지를 약하게 만들어버린다.
[추간판탈출증]
‘디스크’라고 알려진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뼈와 척추 뼈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디스크)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으면서 추간판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이 탈출하여 주변을 지나는 척추신경을 압박해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추간판 : 척추 뼈 사이에 존재하는 관절연골의 일종으로 척추의 움직임과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담당하며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된다.
- 섬유륜 : 추간판의 외부를 양파껍질처럼 동글게 원형으로 싸고 있는 질긴 섬유조직
- 수핵 : 추간판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젤라틴 성분의 조직
외상이나 퇴행성 변화 등에 의해 섬유륜이 찢어지고, 파열되면 내부의 수핵이 밖으로 밀려 나와 주위 조직 특히 척추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추간판탈출증의 원인
- 퇴행과 관련이 있고, 정상적인 노화 과정과 반복적인 외상으로 발생한다.
어린 나이일 때에는 수핵이 강한 물과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수분 함량이 88% 수준이고 나이가 들면 50세 이후 수분이 70~75% 정도로 줄어 콜라겐만 늘어나면서 추간판이 탄력을 잃게 되고 충격흡수능력도 떨어진다. 이때 과도한 힘을 받게 되면 섬유륜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주된 원인으로 고도한 체중과 구부정한 상태에서 오랫동안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경우, 허리를 구부리거니 튼 자세에서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허리를 다친 병력을 가지고 있고,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넘어지거나, 자동차 사고로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추간판탈출증의 위험요인 – 노화, 육체적인 과부하, 약한 허리 근육이나 잘못된 자세, 흡연, 비만, 유전적 요인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양하며 대표적인 허리 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디스크내장증, 척추인대 약화, 이상근증후군 등 허리 질환들이 있다.
수술이 싫어 아픈 허리를 방치하는 경우도 많고, 허리 허리통증을 잡기 위해 척추 수술, 찜질, 물리치료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해도 허리 통증은 여전히 잡히지 않아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비수술적 요법을 시도해볼 수도 있고, 비수술적 요법은 허리통증의 원인을 찾아 해당 부위에 이루어지는 시술로 풍선확장술, 신경성형술, 고주파 수핵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다.
척추관협착증과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허리통증
80대 여성은 20년째 계속된 허리통증이 더 심해져 가다 쉬다 하는 건 허리에서 다리까지 이어지는 통증 때문이었다.
이는 척추관협착증으로 척추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에 협착이 생기면 허리통증과 다리 저림까지 나타나 일상생활에 제약이 따르고 몇 가지 시술을 받았지만 크게 효과를 보자 못해 풍선확장술솨 신경 성형술을 받기로 했다.
풍선으로 협착된 부위를 넓혀준 후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 약물, 고농도의 식염수를 주사하는 치료법이다.
70대 남성은 디스크가 터져 흘러나와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발생해 추간판탈출증을 치료하기 이하여 병변의 주위에 주삿바늘을 삽입해 스테로이드와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았지만 효과를 얻지 못해 다음 단계인 신경성형술을 받기로 했다.
신경성형술은 꼬리뼈에 바늘을 넣은 후 바늘 속에 얇은 관을 넣어 병변 부위에 도달해 고농도 식염수,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 약물을 주사하는 치료 방법이다.
허리통증이 나타날 때 가장 처음 이루어지는 경막외 신경차단술부터 신경성형술, 풍선확장술, 척추관협착증, 추간판탈출증의 비수술적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풍선확장술]
국소마취 후 꼬리뼈 부위를 통하여 풍선이 내장되어 있는 특수 카테터를 척추에 삽입하여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척추관의 폭을 넓혀주는 시술이다.
기존 신경성형술이나, 경막외내시경 시술을 받았음에도 협착과 통증이 계속돼 난치성 척추관협착증과 척추수술 실패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다.
시술과정
특수 카테터와 풍선확자기능은 신경손상을 적게 하도록 특수제작되어 있고, 수술, 통증, 전신만취, 흉터,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
경막외 유착발리술(풍선확장술)은 20~30분 정도 짧은 시술이기에 일정시간 회복 후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풍선 확장술 시술의 특징
1. 국소마취 시술시간이 30분 이내로 당일 시술이며 퇴원이 가능하다.
2. 당뇨,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
3.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환자에게 적용된다.
4. 물리치료, 약물치료, 주사요법에 효과가 적은 디스크 질환에 적용된다.
5. 중증정도의 척추관협착증에 기능하다.

디스크(추간판탈출증)도 척추관협착증도 아닌 허리통증의 질환
척추관협착증과 추간판탈출증이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많다.
그와 비교했을 때 치료해야 하는 허리 통증 질환도 있는데, 디스크내장증은 추간판탈출증과는 다르게 디스크 자체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이다.
디스크내장증은 잘못된 자세 등 척추에 무리가 가면서 디스크가 밀리거나 터지는 것인데 신경이 염증 부위로 자라 들어가면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시행하는 것이 고주파 수핵성형술로 염증 부위에 직접 고주파를 쏴주며 열로 신경과 염증을 제거하는 것이다.
디스크내장증 외에도 척추인대가 약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엉덩이 쪽 근육의 뭉침에 의한 이상근증후군 등 여러 원인에 따라 허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신진우 교수]
서울 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수술 받은 뒤부터 발이 시리고 허리가 더 아프다.
전방전위증과 협착증으로 6년 전 유압술을 받고 난 후 다리와 발이 유난히 차고 시린 증상이 나타났다는 50대 여성의 원인은 수술로 후 교감신경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증상 완화를 위해 교감신경차단술을 받기로 했다.
[교감신경차단술]이란 혈액 순환 개선을 위해 교감신경 주변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치료방법이다.
척추 시술 후 통증이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척추수술통증증후군의 치료법은?
명의에서 허리통증의 유발하는 허리 질환의 종류와 치료법, 일상생활에서 허리를 지키는 방법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