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큐 온>

숲, 포레스트

 

프리젠터 배우 이기우가 숲을 거닐며 느낀 회복과 치유의 시간이다.

 

“겨울 숲에서 ‘나’를 만나다”

 

 

삶에 쉼표를 찍는 순간 숲의 여정이 시작되어진다.

배우 이기우는 데뷔 20년 차 배우로 촬영이 없을 때에는 전국을 누비는 여행 마니아로 여행의 묘미란 낯설어지는 것이라고 하는 이기우에게 숲은 단연 최고의 여행지라고 한다.

굽이굽이 물결치는 능선을 넘나드는 바람과 아름드리 고목 사이로 비추는 햇살, 숲길에 찍힌 발자국 하나까지 처음의 것과 같은 것은 없다.

 

 

이처럼 모든 것이 낯선 숲길에서 우리는 아이러니하게도 도시에서 잃어버린 것들을 떠올리고 있다. 마음의 여유가 없어 미처 돌아보지 못하였던 후회의 순간들을 외면했던 내 안의 목소리이다.

 

 

 

# 숲에 살고 나무에 앉은 삶

‘52’, 5일은 도시에서 2일은 시골에서 생활하는 것을 말하는데,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 위치하고 있는 캠핑장은 약 19,800제곱미터의 숲에 둘러싸요 있는 숲 살림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제고하고 있다.

담장이 없어 내 아이, 네 아이 할 것 없이 서로 보듬어 키우고 자연의 놀 거리가 여기어지 지천에 깔려있어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곳이다.

 

 

각자의 삶을 살다가 주망만 되면 숲에 모여 자연과 교감하고 서로의 온기를 나누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자연과 연결되면 건강하게 살 수 있죠. 그래서 숲에 사는 게 좋아요.”

 

레스 팀머멘즈, 김수진 부부는 되에 살며 숲을 동경하다 11년 전 아예 숲속으로 이사를 왔다.

숲과 호수의 나라라고 불리는 캐나다에서 온 남편 레스 씨는 고향의 숲과 달리 완만한 능선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한국의 숲에 한눈에 반하였단다.

부부가 운영하는 양조장까지 종종 숲길을 이용해서 출근을 하면서 부부는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운다고 한다.

도시에서의 출근길은 버리는 시간이었다면 숲은 부부의 삶을 채우는 시간이 되었다.

 

 

# 전나무숲 아래에서 인생을 사유하다.

 

월정사는 오대산을 품고 있는 천년고찰로 수령 500년이 훌쩍 넘은 전나무 1,700그루가 산의 문처럼 서 있다.

전나무 숲길에 부는 바람은 이곳을 통과하는 사람들에게 속세의 때를 벗겨주고 있다.

 

 

월정사의 월엄스님은 전나무 숲길과 인연이 깊다고 하는데, 스님은 어느 날 전나무 숲길을 걸으시다 쓰러진 전나무와 잡초를 보고 인생은 무엇인지 깊이 성찰하고 싶어져 출가를 결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산새들이지저귀는 고요한 전나무 숲 아래에서 월엄스님과 차 한 잔 나누면서 묻는다.

 

 

“우리는 왜 숲을 향해 걸어야 할까?”

 

걷다 보면 평화로움이 스며드는 오대산의 전나무 숲길은 사실 남모를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는데, 전나무만큼이나 소나무가 우거져있던 이곳은 일제강점기 목재 수탈이 이루어졌던 곳이란다.

조선총독부 산하 목재회사가 존재했으며 오대산 선재길 일대에는 목재 반출용 수레를 위해 설치한 목차(나무 짐칸) 레일도 10m 가량 남아있었다.

 

 

목재를 운반할 때 동원되었던 화전민들이 불렀다는 노동요인 목도 소리는 오대산 일대에서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평창강을 따라 숲을 거닐 수 있게 조성되어 있는 평창남산산림욕장은 숲길을 따라 걷다 보면 숫자가 적혀있는 명찰을 달고 있는 나무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명찰은 모두 일제강점기 당시 송진채취의 피해를 겪은 소나무이다.

13세의 나이에 송진 채취에 강제 동원되었던 김시호(94) 할아버지는 평생 남산을 지척에 두고 살면서 미음의 빚으로 괴로워한다.

1m가 넘는 상처에도 꿋꿋이 살아남은 송진 채취 목을 보면서 고맙다고 말하는 김시호 할아버지이다.

 

“자신의 상처를 드러낸 채 다른 이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숲, 우리는 회복시키는 숲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걸까?”

 

 

김군섭 씨는 숲의 탄생을 지켜본 산증인이다.

1976년 당시 평창군청 산림과에서 알하던 그는 대관령 특수조림 담당했고, 초속 40m의 강풍이 불고 겨울에는 영하 32도까지 떨어지는 민둥산은 나무가 자라기에는 최악의 환경이었지만, 나무를 심고 주위에 통발을 세워 보호하고 통나무 방풍책을 세워 무너지면 다시 세우기를 수십 번 되풀이한 결과 300ha 넘는 울창한 숲을 조림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지켜낸 나무들은 5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휴식처가 되었다.

숲에서 찾는 치유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