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명의 756회>

당뇨기가 있으십니까 – 전당뇨

 

- 당뇨병 전단계인 ‘전당뇨’는 과연 무엇일까?

- ‘전당뇨’에서 당뇨병을 막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당뇨기가 있는 전당뇨는 안심해도 되는 것인가

아직도 당뇨병 발병 전단계인 전당뇨는 매년 평균 8%의 전당뇨 환자가 당뇨병으로 진행하고 있다.

당뇨병은 심각한 전신 합병증을 부르는 질환으로 눈에도, 발에도 합병증이 찾아올 수 있으며 심각해지면 목숨을 위협하는 심근경색과 뇌경색이 찾아올 수도 있다.

목숨까지 위협하는 만병의 근원인 당뇨병은 전당뇨를 잘 잡으면 당뇨병을 충분히 막을 수 있을까?

 

 

당뇨 전 단계는 성인 4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질병이다.

당뇨 전 단계란, 본격적인 당뇨병의 상태는 아니지만 정상보다 높은 혈당 수치를 말한다. 공복혈당 100~125mg/dL, 당화혈색소 5.7~6.4%, 당 부하 검사 140~199mg/dL중에 하나라도 포함되면 당뇨 전 단계로 진단한다.

 

 

당뇨의 진단 기준과 원인, 합병증 및 혈당 관리 방법을 알아본다.

 

[당뇨의 진단 기준]

 

-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0mg/dl이거나, 당화혈색소가6.5% 이상, 인의로 측정한 혈당이 200mg/dl이상이면 당뇨를 진단하고 치료에 들어간다.

 

[당뇨의 원인]

 

- 유전자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환경적인 원인으로 고령, 비만, 스트레스, 약물 등이 있다.

 

[당뇨 합병증]

 

- 저혈당, 당뇨성 케톤산혈증, 고삼투압성고혈당 증후군, 대혈관합병증, 미세혈관합병증, 등

 

[혈당 관리 방법]

 

운동, 단백질 섭취 후 탄수화물, 설탕대신 알룰로스, 수면 적당히, 등

 

[당뇨합병증]

 

1) 급성 당뇨합병증 - 식사량과 운동량보다 인슐린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 생기는 저혈당

 

인슐린의 결핍으로 일어나는 케토산 혈증

 

2) 만성 당뇨합병증 - 망막합병증, 신장합병증, 신경합병증

 

 

[당뇨 전 단계 관리 방법]

 

1) 혈당관리 - 공복혈당 100~125mg/dl, 당부하검사 2시간 후 140~199mg/dl

 

정상수치 100mg/dl 이하, 당부하 2시간 후 139mg/dl

 

2) 체중 조절

 

3) 음식조절

 

4) 당화열색소 검사 - 정상수치 4~65, 당뇨환자 6.5미만

 

5) 고혈압 괸리와 규칙적인 생활, 식생활 습관

 

 

‘당뇨기’가 있는 ‘전당뇨’

전당뇨란 당뇨병 전단계를 말하며 공복혈당의 기준은 조금 넘었지만 당하혈색소 수치는 당뇨병 기준이 미치지 못했던 것이다.

 

당뇨병 자가진단 체크 리스트

1. 목이 자주 마르고 침이 마른다.

 

2. 화장실 가는 횟수가 는다.

 

3. 아무리 먹어도 공복감이 생기고 식욕이 생긴다.

 

4. 점점 살이 빠지고, 몸이 야위어 간다.

 

5. 부스럼이 잘 일어나고, 습진, 무좀이 생긴다.

 

6. 눙에 초점이 잘 안 잡히는 증상이 잦다.

 

7. 잇몸 염증이 자주 발생하고, 피가 난다.

 

8. 부모님 중에 당뇨환자가 있다.

 

 

당뇨병 예방을 위한 관리

1.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중강도 운동하기

 

2. 지방과 탄수화물을 소비하는 유산소 운동하기

 

3. 근육의 양과 힘을 키워주는 근력 운동하기

 

4.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스트레칭하기

 

 

당뇨기무시하고 넘어간다면?

 

비만하면 당뇨병과 대사증후군까지

 

당뇨병으로 넘어가기 전에 골든타임이라 할 수 있는 전당뇨를 어떻게 하면 당뇨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을지, 밥 먹는 순서만 바꿔도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을 수 있다.

, , 칼로리는 낮아서 좋지만 혈당 관리에는 안 좋다 등 전당뇨에 대하여 알아보고, 당뇨병, 합병증,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