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극한직업 708화>

불 맛 삼 대장


여름에 더 사랑받는 뜨거운 불맛 이열치열
불맛을 내기 위하여 노력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불 맛 하면 생각나는 숯불, 거대한 화력의 장작불, 구수한 짚불, 불 맛 삼 대장을 찾아간다.

장작불의 거대한 불꽃

닭볶음탕 식당에서는 1년에 500톤이 넘는 장작을 사용하고 있다.
장작불 가마솥 닭볶음탕을 삼킬 듯한 거대한 불이 활활 타오르고 손님들은 그 광경에 넋이 나간다.
토종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40분 정도 익혀 조리하는 것이 닭볶음탕의 포인트란다.


300도라는 아주 높은 불 앞에서 하루 9시간 넘는 시간 동안 서 있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얼굴이 열기로 붉게 상기되는 것은 기본이고 입이 바짝바짝 말라 탈수증상까지 올 수 있는 극한의 현장이란다.


바비큐 식당에서도 불 맛을 내기 위하여 뜨거운 열기와 매일 사투를 버리고 있다는데, 바비큐는 연기를 통해 고기를 익히기 때문에 짧게는 6시간에서 14시간의 긴 시간의 기다림이 필요하단다.
장작은 바비큐를 만드는 생명으로 향이 좋고 단단해 불이 오래가는 참나무 장작을 사용하고 있다.


장작은 2년 동안 자연에서 숙성해 습기가 없는 장작을 쓰는 것이 중요하고, 이곳에서 하루 장작 사용량 1톤으로 그 양만 해도 어마어마하다.
바비큐를 만들기 위해 새벽 6시부터 시작해 늦은 밤까지 불 맛을 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을 만난다.

산골농원
겅기도 가평군 설악면 어비산길 99번길 75ㅡ7
031ㅡ584ㅡ7415

시간과 싸움 짚불

짚불 구이 식당은 자욱한 연기로 가득한데 숯이나 장작에 비하여 연기가 많이 나고 화력도 더 세 조리하기가 까다로운 짚불은 구수한 짚불 향을 포기 할 수 없어 70년이 넘게 짚불을 고집하고 있는 식당이다.


짚불은 순간화력이 1,200도로 강력한 화력으로 50초 안에 고기를 익힌다는데, 시간 조절을 잘못하며 타거나 안 익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항상 초긴장 상태로 일을 하고 있다.


고기가 그을림이 생기면 손님상에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불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 에어컨, 선풍기 하나 없이 막힌 공간에서 고기를 구워야 하기에 땀과의 전쟁을 치러야만 한다.


손님상에 나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 2분으로 기름기 쏙 빼 담백한 삼겹살과 찰떡궁합을 자랑하는 무안의 특산물 양파김치까지 불향의 끝판왕인 짚불 구이 삼겹살을 맛본다.

두암식당
전남 무안군 몽탄면 우명길 52
061ㅡ452ㅡ377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