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극한직업>

간편식 전쟁


간편식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바쁜 현대사회에서 요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찾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수작업으로 순살만 손질하여 만들어낸 게장과 전복장, 새우장, 신선한 나물을 바로 양념하여 먹을 수 있게 만든 데친 나물까지...
바로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을 만들기 위해 누구보다도 정성을 다하는 작업자들은 만난다.

순살 전복장과 데친 나물

섬세한 손질은 필수, 이빨과 내장을 제거한 순살 전복장, 데친 나물
전라남도 무안군 간편식 매장 앞에 완도에서 막 잡아 출하한 싱싱한 전복이 도착하면 해감 작업을 거쳐 껍데기와 빨판 부분의 묵은 때를 벗겨낸다.


작업자들은 능숙하게 내장과 순살을 재빨리 분리하여 내면 순식간에 전복의 순살만 남는다.
순살만 있기에 바로 요리에 넣어 먹을 수 있어 인기가 많다.
순살 전복장은 삶아서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비법 간장을 넣어 만들어 내는데, 전복이 상하기 전에 손질하여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바쁘게 움직인다.


경상북도 성주군의 나물 농장에서는 부지깽이나물 수확에 한창이다.
부지깽이나물은 줄기의 아랫부분이 질겨 못 먹기 때문에 자란 크기를 확인하고 사람들이 직접 낫으로 일일이 수확을 한다.
제철이라 향과 맛이 좋은 나물은 손질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나물을 손질하여 데쳐서 간편식으로 만드는 곳 경기도 시흥시의 나물 공장이 있다.
나물 공장으로 하루에 들어오는 나물의 양이 200~300kg이라고, 나물마다 손질법이 다르기 때문에 시든 부분이나 억센 부분 등 먹지 못하는 부분을 일일이 다듬어야 한다.


손질만큼이나 어려운 데치기도 사람이 대신해주고 있는데, 나물 잎 두께에 따라 데치는 시간이 다르기에 작업자들은 뜨거운 열기를 참아내야만 하고 기계 안의 나물의 상태 또한 확인해야 한다.
나물에서 나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번 세척은 기본이며 데친 후에도 나물 잎을 하나하나 펴가며 검수를 한다.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지만 작업자들은 자신이 먹는다는 생각으로 정성을 다해 만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