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극한직업>

따뜻하게 속을 채워주는 겨울간식


겨울 간식의 최강자 어묵, 찐빵, 만두는 차가운 바람이 불어오면 더욱 더 생각나는 간식이다.
호호 불면서 먹는 달콤한 호빵.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만두.
뜨끈한 국물로 언 마음을 녹여주는 어묵과 유부 주머니.
요즘 들어 날씨가 추워지며 겨울철 간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눈코 뜰 새 없이 어느 때보다 바쁘게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는 겨울 간식의 생산 현장을 찾아간다.

만두와 찐빵, 김이 모락모락 나는 겨울철 간식

만두는 간식뿐만 아니라 식사대용으로도 손색이 없다.

충주 한 시장에 위치하고 있는 만두 가게에서는 만두피 반죽부터 빚는 과정까지 모두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단다.
이 가게에서는 만두의 쫄깃함과 광택을 위해 밀가루와 부재료의 최적 배합 비율로 반죽을 만들고 있다.
10.000개가 하루 빚어야할 만두의 양인데, 밀려드는 주문량을 감당하기 위해 작업자들은 바삐 움직여야만 하는데, 만두는 속 재료가 만두의 맛을 좌우하는 만큼이나 특별하게 공으로 들여야만 한다.


만두소에 들어가는 무말랭이는 만두의 포슬포슬한 식감을 만들어주기 위해 20시간이 걸리고, 하루 10,000개의 만두를 직접 기계 없이 손으로 빚으려면 시간이 많이 들뿐 아니라, 안 아픈 곳이 없단다.

안흥 찐빵 마을은 찐빵의 고장으로 새벽부터 구수한 팥 삶는 냄새가 진동한다.

이 곳에서는 3일 동안 만들어야만 하는 찐빵의 개수가 무려 20,000개라는데...
찐빵을 생산하는 괴정은 팥소를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하는데, 팥은 세척 이후에도 미처 발견하지 못한 이물질이 있을 수 있어 일일이 조리로 떠서 걸려야만 한다.
한 번에 삶을 수 있는 팥의 양은 80kg으로 팥소를 망칠 경우에 전향 폐기해야 하기에 4시간을 온전히 팥 삶는 데에만 집중을 해야 한다.


찐빵은 특히나 겨울철에는 물량이 많아져 하루에 팥을 두 번 삶아내고 있다.
일일이 손으로 빚어야하는 찐빵을 만드는 작업은 고단하지만 장기간 보관하여도 터질 걱정이 없어 수제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손으로 빚어 더욱 맛있는 겨울 간식 만두와 찐빵 만드는 현장을 찾아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