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혈관과 장기에도지방이 낀다? ‘이소성 지방의 실체와 이기는 방법은!
‘지방’ 이라하면 각종 대사질환을 일으키고 공공의 적이라는 것, 하지만 지방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 중성지방은 피부 아래에 쌓이는 피하지방, 복부 장기에 쌓이는 내장 지방으로 나눈다.
“이소성 지방이란” 지방변성(지방이 세포 내에 병적으로 축적 침착되는 것)의 한 종류로 본래 지방이 존재하지 않는 조직의 세포에 지방이 생기는 것을 이소성 지방변성이라 한다. 우리 몸속에 들어온 에너지 중 사용하고 남은 에너지들은 피부 아래에 피하지방 형태로 쌓이기 시작하고 나아가 복부 안쪽 각종 장기 사이사이까지 내장지방으로 축적된다. 이소성지방은 피하지방 내장지방에 이은 ‘제3의 지방’이라 한다.
지방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를 구성하고 에너지를 제공하고, 체온유지,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에서 장기를 보호하는 보호대 역할을 한다.
우리 몸에 과도하게 많아진 지방은 몸속을 돌아다니며 원래 쌓이지 말아야 할 간, 췌장, 심장, 혈관 등에 직접 침투해 쌓이며 독성을 내는 ‘이소성 지방’이 된다. 심혈관 질환, 당뇨병, 지방간, 심하면 돌연사까지 일으킨다
.
이소성 지방이 췌장에 쌓이면 인슐린분비 능력이 떨어지고, 간에 쌓이면 당을 합성하는 글리코겐을 잘 저장하지 못하게 되어 간에서 포도당이 과하게 분비되고, 근육에 쌓이면 인슐린저항성(혈당을 세포 속으로 옮겨 에너지로 쓰게 하는 인슐린 호르몬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 높아지며, 심장과 혈관에 쌓이면 심장병 위험이 커진다. 목 주변 혈관에 쌓이면 기도가 좁아져 무호흡 증세를 일으키고 목에 있는 혈관, 근육에 쌓였을 때는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해 인지기는 저하, 치매로 이어진다.
<혈관과 장기에 끼는 ,이소성 지방 낮추는 방법>
가공식품 등 나쁜 음식을 끊고 동시에 트랜스 지방의 섭취도 끊어야 하며 설탕, 액상과당이 함유된 탄산음료를 1주일에 5잔 이상 섭취하지 말아야한다.
이소성 지방을 낮추는 방법 중 누구나 할 수 있는 ‘누워서 개굴개굴’ 동작, ‘엎드려서 개굴개굴’동작이다.
이소성 지방을 낮추는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은?
바로 ‘두부’ 와 ‘아보카도 오일’ 아보카도를 이용한 ‘아보카도 샐러드’, ‘아보카도 감바스’......
<아보카도 샐러드 만드는 방법>
재료: 아보카도, 오이, 양파, 아보카드 등의 야채, 연어, 새우, 아보카도오일